본문 바로가기

24절기 세시풍속

24절기 한로(寒露), 국화 꽃잎에 맺히는 찬 이슬

 

24절기 "한로" 세시풍속과 생활속의 선도수행 

한로(寒露)는 24절기 중 열일곱번째 절기 입니다. 찬이슬이 맺히고 바람이 차가워지면서 기온이 현저하게 내려갑니다. 한로는 추분(秋分)과 상강(霜降) 사이에 드는 가을절기로, 대체적으로 음력 8월 말(末)이나 9월 초(初), 양력으로는 10월 8일경 입니다. 아침 저녁 뿐만아니라 낮에도 바람이 차가워지고 찬이슬이 내리며 국화꽃이 만발하고 단풍이 물들기 시작합니다. 세시명절(歲時名節)인 중양절(重陽節, 重九) 음력 9월 9일과 비슷한 시기에 한로절기가 시작되는데, 옛부터 국화꽃을 따서 국화차를 만들거나 국화주를 담고 구절초로 약을 만들기도 하였습니다. 농가에서는 날이 더 추워지기 전에 벼타작과 곡식수확 및 가을걷이에 힘씁니다.

음력 9월 9일 중양절에 선교(仙敎)에서는 선월지강재(仙月地降齋) _선교 선월지강일 “선모제(仙母祭)”를 봉행합니다. 선교수행대중은 선교총림 시정원주님께 선모(仙母)의 예(禮)를 갖추어 구절초 꽃차를 올리며 헌다의례를 행합니다. 또한 선교총림의 가을수련회 및 10월 교리학당이 개강되고 선도공법 입산수련이 개최됩니다. 선림원 절기학교에서 한로(寒露)절기의 유래와 뜻, 한로의 풍습, 한로속담과 섭생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_ 민족종교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2020년 경자년 한로날짜와 입절시각 : 양력 10월 8일 · 새벽 04시 55분 (음력 8월 22일 寅時) 

#24절기 #한로 #寒露 #한로뜻 #2020년 한로 #한로치성 #한로속담 #한로날짜 #한로음식 #한로절기 #한로 이미지 #중양절 #한글날


  

 

 

 

《 한로(寒露)의 유래 》

한로(寒露)는 추분(秋分)과 상강(霜降)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 8월 말이나 9월 초, 양력으로 10월 8일경 입니다. 공기가 차가워져 찬바람이 불고 찬이슬(寒露)이 내립니다. 한로는 음력 9월 9일 세시명절인 중양절(重陽節, 重九)과 비슷한 시기에 듭니다. 태양의 황경이 195°이며, 추분 뒤 15일째 날로, 한로가 지나면 밤의 길이가 낮보다 점차 길어지기 시작합니다. 음력 9월이면 가을이 깊어져 농촌에서는 추수를 서둘러 마치고 본격적으로 가을걷이에 들어섭니다.

#한로삼후  한로 절기 15일간을 5일씩 끊어서 3후(候)로 나누어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모여들고, 중후(中候)에는 참새가 줄고 조개가 나오며, 말후(末候)에는 국화가 만발한다고 합니다.

 

 

《 한로(寒露) 절기의 풍습 》

#중양절 #음력9월9일 #구절초 #단풍놀이  한로를 전후하여서는 산과 들에 국화가 만발하여 향기롭습니다. 한로 절기와 함께 드는 9월 9일 중양절 즈음에는 국화전(菊花煎)을 지지고 국화주(菊花酒)를 담그는데, 한로 즈음에는 선선한 날씨에 단풍이 고와서 산행과 더불어 단풍놀이 등의 나들이 · 소풍 · 운동회 등 친목모임이 성행합니다.

#구절초 #선모초  산에 하얗게 피어나는 구절초(九節草, 일명 선모초) 꽃을 따서 "구절초꽃차"를 만들거나, 구절초 전초(全草)를 달여서 고를 내어 "구절초 조청"을 만들기도 합니다. 구절초는 부인병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쓴맛이 강하나 혈(血)을 보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선모초(仙母草)라고 부릅니다.

#수유나무 열매 머리에 꽂기 #시짓기  한로절기에는 시를 짓고 풍류(風流)를 행했는데, 머리에 수유(茱萸)를 꽂거나 산이나 언덕에 올라가 고향을 바라본다든지 소요유(逍遙流)하는 내용이 한시에 자주 나타납니다. 두보(杜甫)의 “내년 이 모임에 누가 건재할 지 아는가, 얼근히 취한 눈으로 수유를 쥐고 자세히 들여다보네(明年此會知誰健 醉把茱萸仔細看).”라는 시가 유명합니다. 높은 산에 올라가 수유열매를 머리에 꽂으면 잡귀를 쫓을 수 있다고 믿는데, 이는 한로절기 즈음에는 산수유 열매가 붉은 자줏빛으로 익어서 귀신을 물리치는 벽사력(辟邪力)을 가지게 된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추수 #가을걷이  한로 즈음에는 찬 이슬이 내리는 시기여서 기온이 더욱 내려가기 전에 추수를 끝내야 하므로 농촌은 타작이 한창입니다.

 

 

 


《 한로(寒露) 절기의 올바른 섭생법 》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오는 가을철의 섭생법을 알아봅니다. (가을 절기 : 입추 · 처서 · 백로 · 추분 · 한로 · 상강)

 

 

秋三月 此爲容平 天氣以急 地氣以明 早臥早起 與鷄俱興 使志安寧 以緩秋刑 收斂神氣 使秋氣平 無外其志 使肺氣淸 此秋氣之應 養收之道也 逆之則傷肺 冬爲飱泄 奉藏者少"가을 석달은 용평(가을에 만물을 거두어들이고 다시는 성장하지 않는다는 뜻) 이라고 한다. 천기(天氣)는 급해지고 지기(地氣)는 밝아진다. 이때는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되 닭과 함께 일어나며, 뜻을 편안하게 하여 쌀쌀한 가을의 기분을 완화 시키고, 신기(神氣)를 수렴하여 추기(秋氣)를 화평하게 하며, 뜻을 밖으로 두지 않아 잡념을 없애고 폐기(肺氣)를 맑게 한다. 이것이 추기에 맞게 거두는 것을 기르는 도(道)이다. 이를 거역하면 폐가 상하고 겨울에 손설(먹은 음식이 소화되지 아니하고 그대로 배설되는 일, 또는 그런 설사=손사)이 되어 저장을 돕는 것이 적어진다." 하였습니다.

가을은 음력 7, 8, 9월에 해당하며, 절기상 입추(立秋.양력 8월 8일)에서 상강(霜降.양력 10월 23일경)까지 입니다. 7월을 맹추(孟秋)라 하며 입추(立秋)와 처서(處暑) 두 절기가 속하고, 8월을 중추(仲秋)라 하며 백로(白露)와 추분(秋分) 두 절기가 속하고, 9월을 계추(季秋)라 하며 한로(寒露)와 상강(霜降) 두 절기가 속합니다.

 


《 한로(寒露) 절기 음식 》

#추어탕 #호박고지 #호박떡 #들깨토란탕 #국화전 #국화차 #구절초조청  한로 절기에는 호박줄기와 잎을 걷어내고 호박을 수확하여 호박고지를 만들거나 늙은 호박으로 보관하며 들깨를 갈아만든 음식을 즐기고 한로절기에 만발하는 국화꽃을 따서 차를 만들거나 술을 담급니다. 

 

 

 

*민족종교 선교에서는 "선림원절기학교" 수업을 통해 한국의 세시풍속을 배우며 생활속의 선도수행으로 실천하고 있습니다.

*절기학교는 봄 여름 가을 겨울 4계절 / 4학기 개강하여 매주 일요일 선교총림선림원에서 수업을 진행합니다.

*참가문의 : [민족종교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seongyokorea@hanmail.net 

*본 콘텐츠는 저작권과 관련, 무단 복사편집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