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4절기 세시풍속

경칩, 겨울잠에서 개구리가 깨어나고 새싹이 나는 시기

24절기 경칩(驚蟄), 들녘에 보리싹이 푸르고 동물들이 겨울잠에서 깨어나다 

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세번째 절기 "경칩(驚蟄)"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경칩는 따스한 봄기운이 완연해지는 시기로 전국적으로 산수유꽃과 매화가 피어납니다. 제주를 비롯해서 광양 하동에서 매화축제가 열리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경칩절기는 음력 2월 보름 즈음인데, 예로부터 음력 2월은 영등달 이라하여 영등할망이 바람을 몰고 온다하여 재계과 근신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겨우내 움추렸던 산천초목과 사람이 따스한 봄기운에 가벼이 행동하게 되는 것을 주의토록하는 의미도 있을 것입니다. 선림원 절기학교에서는 삼가하고 재계하는 음력 2월 절기 경칩에 고사와 치성을 올리며 우순풍조를 기립니다. 선림원절기학교에서 경칩절기의 세시풍속을 공부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2020년 경자년 경칩날짜와 입절시간 : 양력 3월 5일 · 오전 11시 57분. 

#경칩의미 #경칩풍속 #2020년경칩날짜 #2020년경칩시간 #24절기 #경칩기도 #절기수행 #선도수행 #선교수행


 

 

경칩(驚蟄)

겨울잠에서 개구리가 깨어나고 청보리싹이 움트는 시기

 

경칩(驚蟄)의 유래

경칩(驚蟄)은 우수(雨水)와 춘분(春分) 사이에 들며, 음력 2월 양력으로 3월 5일경, 태양이 황경 345° 위치에 있을때 듭니다. 계칩(啓蟄)이라고도 합니다.

24절기 중 3번째 절기로 경칩은 글자 그대로 '일어나다'의 뜻인 '놀랄 경(驚)'과 '겨울잠 자는 벌레'를 뜻하는 '숨을 칩(蟄)' 으로, 땅속에 들어가서 동면을 하던 동물들이 깨어나서 꿈틀거리기 시작하고 초목이 싹이트는 시기입니다. 우수와 경칩이 지나면 대동강물이 풀린다고 하여 완연한 봄을 느끼게 됩니다. 경칩은 만물이 약동하는 시기로, 움츠려 지냈던 겨울이 끝나고 새로운 생명력이 소생하는 절기입니다.

『한서(漢書)』에는 열 계(啓)자와 겨울잠을 자는 벌레 칩(蟄)자를 써서 계칩(啓蟄)이라고 기록되었는데, 후에 한(漢) 무제(武帝)의 이름인 계(啓)를 피하여 놀랠 경(驚)자를 써서 경칩(驚蟄)이라 하였습니다. 옛사람들은 이 무렵에 첫 번째 천둥이 치고, 그 소리를 들은 벌레들이 땅에서 나온다고 생각했습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 논일원십이회삼십운(論一元十二會三十運)에는 “동면하던 동물은 음력 정월[寅月]에 활동하기 시작하는데, 절기로는 경칩에 해당하며, 음력 9월에는 동면을 시작하는데 절기로는 입동(立冬)에 해당한다.”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성종실록』에는 우수에는 삼밭을 갈고 경칩에는 농기구를 정비하며 춘분에는 올벼를 심는다고 하였듯이, 우수와 경칩은 새싹이 돋는 것을 기념하고 본격적인 농사를 준비하는 중요한 절기로 여겼습니다.

『예기(禮記)』에는 경칩의 시기에 "식물의 싹을 보호하고 어린동물을 기르며 고아들을 보살핀다" 하였습니다.

 

 

경칩(驚蟄) 절기의 특징 & 경칩풍습

#경칩날씨 : 태양이 황경 345°의 위치에 있을 때로 한난(寒暖)이 반복되면서 날씨가 풀려 봄기운이 완연해집니다. 

#은행씨앗나누기 & 은행나무돌이 : 옛날 경칩에 젊은 남녀들이 서로 사랑을 확인하는 징표로써 은행씨앗을 선물로 주고받으며, 은밀히 은행을 나누어 먹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경칩날 날이 어두워지면 동구 밖에 있는 수나무, 암나무를 도는 사랑놀이로 연인의 정을 다지기도 했다고 전합니다.

#벽바르기, 담장쌓기 : 경칩에는 흙일을 하면 탈이 없다고 해서 벽을 바르거나 담을 쌓기도 합니다. 경칩 때 벽을 바르면 빈대가 없어진다고 해서 일부러 흙벽을 바르는 지방도 있습니다. 빈대가 심한 집에서는 물에 재를 타서 그릇에 담아 방 네 귀퉁이에 놓아두면 빈대가 없어진다는 속설이 전합니다.

#보리점 : 한편, 경칩날에 보리싹의 성장을 보아 그 해 농사의 풍흉을 예측할 수 있다고도 합니다.

#고로쇠물마시기 : 또한, 단풍나무나 고로쇠나무를 베어 나무에서 나오는 수액을 마시면 위장병이나 관절염에 효과가 있다고 해서 약으로 먹는 지방도 있습니다.

#농기구정비 : 농업이 주업이던 과거에 ‘경칩’은 매우 주요한 절기 중 하나였습니다. 성종실록에는 ‘우수에는 삼밭을 갈고 경칩에는 농기구를 정비하며, 춘분에는 올벼를 심는다’고 기록해, 경칩을 본격적으로 농사를 준비하는 중요한 시기로 보았습니다.

#선농제 : 조선시대 왕실에서는 왕이 농사의 본을 보이는 적전(籍田)을 경칩이 지난 해일(亥日)에 선농제(先農祭)와 함께 행하도록 정하였으며, 경칩 이후에는 갓 나온 벌레 또는 갓 자라는 풀을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불을 놓지 말라는 금령(禁令)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성종실록(成宗實錄)』에 우수에는 삼밭을 갈고 경칩에는 농기구를 정비하며 춘분에는 올벼를 심는다고 하였듯이, 우수와 경칩은 새싹이 돋는 것을 기념하고 본격적인 농사를 준비하는 중요한 절기입니다.

 

 

 

 

경칩(驚蟄) 절기 음식

#경칩 절기음식  고로쇠물 · 보리순 · 냉이 · 달래 · 미나리싹 · 부추새순

#고로쇠수액 _ 경칩 즈음에는 고로쇠수액을 마시는 풍습이 있습니다. 고로쇠수액은 골리수(骨利水)라고 하여 위장과 간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전합니다.

#보리순 _ 경칩에는 보리순이 한창인데, 보리순을 넣고 끓인 된장국이나 보리순을 가루내어 미숫가루를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보리순은 각종 비타민이 풍부해서 가루내어 먹으면 노약자에게 좋습니다.

#봄나물 _ 시절 나물로는 냉이와 달래, 미나리싹 등이 쌉싸름한 맛과 함께 봄의 향취를 더해줍니다.

 

 

경칩(驚蟄) 절기의 올바른 섭생법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오는 봄철의 섭생법을 알아봅니다. (봄 절기 : 입춘 · 우수 · 경칩 · 춘분 · 청명 · 곡우)

春三月此謂發陳天地俱生萬物以榮夜臥早起廣步於庭被髮緩形以使志生生而勿殺予而勿奪賞而勿罰此春氣之應養生之道也逆之則傷肝夏爲寒變奉長者少

"봄철 3달은 발진(發陳) 이라고 한다. 천지 간에 생기가 다 발동하여 만물이 소생하고 번영한다. 이때는 밤에 일찍 자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뜰을 거닐며 머리를 풀고 몸을 편안하게 늦추어 주며 마음을 유쾌하게 하며 생겨나는 만물에대해서는 그 생장을 도와주고 죽이지는 말며 주기는 하면서 빼앗지는 말며 상은 주되 벌은 주지 말아야 한다. 이것이봄철에 맞게 양생하는 방법이다. 이것을 거역하면 간(肝)을 상하고 여름에 가서 철이 아닌 추위가 와서 자라게 하는힘[奉長]이 적어진다." 하였습니다.

절기에 따라 올바르게 양생하는 법은 태양의 운행과 같은 주기로 생활하는 것이다. 봄은 오행(五行) 중 목(木)에 해당합니다. 목(木)은 성장하는 기운이 강합니다. 목(木)은 오장 중 간(肝)을 관장하고, 맛으로는 신맛이므로 봄철 나물을 새콤하게 무쳐먹는 것은 목기(木氣)를 보충하여 원기를 회복하는 의미입니다.

 

 

 

 

선교(仙敎), 경칩 절기의례 & 생활속의 선도수행 》 심화학습 click  》 *경칩절기의 수행법을 깊이있게 공부합니다. 


 *본 콘텐츠는 저작권과 관련, 무단 복사편집을 금합니다. [민족종교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seongyokorea@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