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절기수행

24절기 상강(霜降), 찬서리 내리는 깊은가을 만추(晩秋) 24절기 상강(霜降) 찬서리 내리는 늦가을 만추, 단풍이 절정을 이루고 일년 농사가 마무리 된다.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여덟번째 절기 “상강(霜降)”에 대해 공부합니다. 상강은 한자로 서리 상(霜)과 내릴 강(降) “상강(霜降)”이라고 합니다. “상강(霜降)”에는 서리가 내리고 바람이 차가워지며 조석으로 추위가 시작되는 늦가을 입니다. 상강은 한로(寒露)과 입동(立冬)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는 9월 말, 양력으로 10월 23일경 입니다. 상강이 되면 서리가 하얗게 내리고 날이 추워져 겨울이 다가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상강이 드는 10월 말(末)은 만추(晩秋)의 계절이어서 단풍이 절정에 들고 일년 농사의 가을걷이가 마무리 됩니다. 낙엽이 떨어지는 쓸쓸한 정취와 사색을 하기에 좋은 .. 더보기
24절기 한로(寒露), 국화 꽃잎에 찬 이슬 맺히고.. 깊어지는 가을 24절기 한로(寒露) 찬 이슬이 내리고 가을이 깊어져 추수를 마무리, 국화꽃이 만발하고 단풍이 든다.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일곱번째 절기 “한로(寒露)”에 대해 공부합니다. 한로는 한자로 찰 한(寒)과 이슬 로(露) “寒露”라고 합니다. “한로(寒露)”에는 차가운 이슬이 맺히고 바람이 차가워지면서 기온이 현저하게 내려갑니다. 한로는 추분(秋分)과 상강(霜降) 사이에 드는 가을절기로, 대체적으로 음력 8월 말(末)이나 9월 초(初), 양력으로는 10월 8일경 입니다. 아침 저녁 뿐만아니라 낮에도 바람이 차가워지고 찬이슬이 내리며 국화꽃이 만발하고 단풍이 물들기 시작하며 가을이 깊어집니다. 세시명절(歲時名節)인 중양절(重陽節, 重九) 음력 9월 9일과 비슷한 시기에 한로절기가 시작되는데,.. 더보기
24절기 추분(秋分),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추분점(秋分點) 24절기 추분(秋分)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추분점(秋分點), 벼이삭은 여물고 송이버섯 향긋한 가을 절기 선교총림선림원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여섯번째 절기 “추분”에 대해 알아봅니다. 추분(秋分)은 한자로 가을 추(秋)와 나눌 분(分) “秋分” 이라고 합니다. “秋分”은 태양의 황경이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추분점(秋分點)”에 이르른 절기로, 춘분점(春分點)과 대치되는 절기입니다. 추분 절기에는 오곡백과가 풍성하게 여물고 하늘이 드높아지며 서늘한 가을바람이 부는 본격적인 가을에 접어듭니다. 선교(仙敎)에서는 선림원절기학교 가을학기를 진행하여, 취정원사님의 교화법문 “24절기 생활속의 선도수행”을 근간으로 천지인합일 선도수행을 행하고, 추분절기 섭생법 및 절기체조를 배웁니다. 선교(仙敎) 수행.. 더보기
24절기 백로(白露), 흰 이슬이 내리는 선선한 가을 · 포도순절(葡萄旬節) 24절기 백로(白露) 밤 기온이 이슬점 아래로 내려가 흰 이슬이 맺히는 가을 절기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다섯번째 절기 “백로”에 대해 알아봅니다. 백로(白露)는 한자로 흰 백(白)와 이슬 로(露) “白露”라고 합니다. “白露”는 “흰 이슬”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백로 절기가 되면 밤 기온이 이슬점(공기 속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이슬이 생기기 시작하는 온도) 이하로 내려가서 풀이나 물체에 하얀 이슬이 맺히게되는 것에서 백로라 칭하게 되었습니다. 백로절기에는 날씨가 선선해지며 백로 말후에는 완연한 가을 분위기가 납니다. 민족종교 선교에서는 선림원절기학교 가을학기를 진행하여, 취정원사님의 교화법문 “24절기 생활속의 선도수행”을 근간으로 수행하며 “백로절기 섭생법” 및 “.. 더보기
24절기 대서(大暑), 폭염의 한가운데 중복(中伏) 24절기 대서(大暑) 염소 뿔도 녹는다는 불볕더위 중복(中伏)의 절기, 한여름 열대야 폭염주의보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두번째 절기 “대서”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대서(大暑)는 한자로 큰 대(大)와 더위 서(暑) “大暑”라고 합니다. 대서(大暑) 절기에는 중복(中伏)이 드는데, 복날은 초복 · 중복 · 말복의 삼복(三伏)을 이릅니다. 복(伏)날은 ‘장차 일어나고자 하는 음기가 양기에 눌려 엎드려 있는 날’이라는 뜻 입니다. 오행(五行)에서 여름(夏)은 ‘불(火)’에 속하고, 가을은 ‘쇠(金)’에 속하는데, “여름 불기운에 가을의 쇠 기운이 3번 굴복한다.”라는 뜻으로 ‘복(伏)’자를 써서 삼복(三伏)이라 합니다. 대서는 양력으로 7월 22일 또는 23일경에 듭니다. 민족종교 선교에서는 선림원.. 더보기
24절기 소서(小暑), 장마철 본격적인 무더위의 시작 - 초복 24절기 소서(小暑)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는 초복(初伏)의 절기. 장마전선이 오랫동안 머무르는 습도 높은 한여름 폭염. 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한번째 절기 “소서”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소서(小暑)는 한자로 작을 소(小)와 더위 서(暑) “小暑”라고 합니다. 소서(小暑) 절기에는 초복(初伏)이 드는데, 초복은 처음 초(初) 엎드릴 복(伏)이라 하여 음(陰)의 기운이 양기(陽氣)에 눌려 엎드려 있다는 뜻으로 폭염의 시작을 알립니다. 소서는 양력으로 7월 7일 8일경에 들며, 장마비에 잡초가 무성해져 폭염속에 논밭의 풀매기 작업이 힘든 시기입니다. 민족종교 선교에서는 선림원절기학교 여름학기를 진행하며 “24절기 선도수행” 소서 여름절기의 올바른 섭생법과 절기체조를 배웁니다. 선교(仙敎) 수.. 더보기
24절기 하지(夏至), 태양은 가장 높이 뜨고 낮이 가장 긴 한여름 24절기 하지(夏至) 일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 시간이 가장 긴 날. 하지감자를 캐고 마늘 수확을 마무리하는 등 장마 대비에 바쁜 한여름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번째 절기 “하지”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하지(夏至)는 한자로 여름 하(夏)와 이를 지(至) “하지(夏至)”라고 합니다. 하지(夏至)에는 정오(正午)의 태양이 가장 높이 뜨며, 북반구를 기준으로 볼때 낮이 가장 긴 날입니다. 하지 즈음에는 장마가 시작되기 전 포실하게 여문 “하지감자”를 캡니다. 농작물의 성장이 가장 활발할 때입니다. 하루가 다르게 논밭에 풀이 무성하여지므로 밭매기 등 제초작업이 바쁩니다. 하지는 양력으로 6월 21일 22일경에 들며, 단오부터 시작된 모내기가 하지에 이르면 모두 마무리되므로 이때까지 비가 오.. 더보기
24절기 망종(芒種), "보리 베고 벼 심는" 까끄라기 씨앗 곡식농사 24절기 망종(芒種) 까끄라기 · 가시랭이(芒) 씨앗(種) 을 거두고 뿌리는 여름농사 _ 보리는 베고 볍씨는 담구어 모내기 하기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아홉번째 절기 “망종”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망종(芒種)은 한자로 까끄라기 · 가시랭이 망(芒)과 씨 종(種) "망종(芒種)"이라고 합니다. 망종은 양력 6월 5일 경에 들며, 망종 즈음에는 한낮의 기온이 높이 올라가 한여름인듯 더워집니다. 망종이 되면 농가에서는 씨앗 끝에 까끌한 수염이 달린 곡식종자를 거두고 뿌리는 일을 하는데, 가을에 파종했던 "보리"는 베고 "벼"의 씨앗인 볍씨를 담구어 싹을 내어 모내기를 마무리합니다. 또한 이때는 매실 수확이 한창이어서 농가에서는 모내기 · 보리베기 · 풀베기 · 매실따기로 일손이 바쁩니다. 산골짜기마.. 더보기
24절기 소만(小滿), 보리 베기와 모내기에 바쁜 초여름 24절기 소만 보리베기와 모내기에 바쁜 초여름 절기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여덟번째 절기 “소만”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소만(小滿)은 초여름의 절기로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의 생장이 빨라지는 시기로 모내기를 준비하고 이른 모내기를 하며 보리베기로 분주한 때입니다. 소만은 5월 20일 또는 5월 21일경에 듭니다. 민족종교 선교(仙敎)에서는 선림원절기학교 여름학기를 진행하며 농선(農禪)을 장려합니다. 선교 수행대중은 소만절기를 맞아 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제초법을 배우고 "사람과 자연의 상생"을 실천하며 선교의 오행농법(五行農法)의 교육에 참여하여 농선의 실천과 교육의 참여로 선농무일여사상(禪農武一如思想)을 실천하게 됩니다. 선교 창교주 취정원사께서 창안하신 오행농법은 절기와 농작물의 상생조화를 통.. 더보기
24절기 입하(立夏), 푸르른 신록 아카시아 향기 속에 여름이 시작되다 24절기 입하 여름이 시작되는 푸르른 신록의 계절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일곱번째 절기 “입하”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입하(立夏)는 여름이 시작되는 절기로 산천이 날로 푸르러지고 더위가 시작됩니다. 입하는 5월 4일 또는 5월 5일경에 듭니다. 선교(仙敎)에서는 입하절기에 절기치성을 봉행하는데, 여름 첫절기를 맞이하며 지극한 마음으로 재계하여 정화수기도를 올리고 다선(茶禪)을 행하며 농선(農禪)을 장려합니다. 선교 수행대중은 입하절기를 맞아 모내기와 제초 등 농경에 힘쓰고 선교의 오행농법(五行農法)의 교육에 참여합니다. 농선의 실천과 교육의 참여로 선농무일여사상(禪農武一如思想)을 실천하게 됩니다. 선교 창교주 취정원사께서 창안하신 오행농법은 절기와 농작물의 상생조화를 통해 생명을 살리는 생명농.. 더보기
24절기 곡우(穀雨), 봄비 속에 찻잎은 푸르고 백곡은 윤택해진다. 24절기 곡우(穀雨) 곡우 비가 내리며 백곡이 성장하는 농경기, 찻잎을 따고 못자리를 만든다.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여섯번째 절기 “곡우”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곡우(穀雨)는 곡식(穀) 농사에 필요한 비(雨)가 내리고 모든 농작물이 윤택해지는 시기입니다. 곡우는 4월 19일 또는 4월 20일경에 듭니다. 곡우는 농사에 필요한 비가 내린다는 절기로 논농사를 위해 볍씨를 담그로 못자리를 만드 는 등,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됩니다. 곡우 절기에 선교(仙敎)에서는 곡우절기에 환인상제님께 제천(祭天)하며 헌다(獻茶)하는 고유한 선교의례(仙敎儀禮)가 있습니다. 그해 첫 찻잎을 따서 차(茶)를 만들어 하늘에 “제천(祭天)”하고, 한국의 선교를 창시한 취정원사님께 “헌다(獻茶)” 하며, 선교총림 선림원 시정.. 더보기
24절기 춘분(春分), 밤낮의 길이가 같은 춘분점 매화꽃 만발하다 24절기 춘분(春分), 매화꽃 만발하는 봄의 절기.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춘분점(春分點)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네번째 절기 “춘분(春分)”에 대해 알아봅니다. 춘분은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절기로 꽃샘추위가 끝나가고 매화꽃이 만발하는 시기입니다. 춘분(春分)은 경칩(驚蟄)과 청명(淸明) 사이에 들며, 음력 2월 양력으로 3월 20일경, 태양이 황경 0° 해의 중심이 춘분점(春分點) 위에 왔을 때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습니다. 한국에서는 대개 입춘(立春)부터 봄이라고 하지만 유럽은 춘분(the spring equinox) 부터 봄으로 여깁니다. 밤낮의 길이는 같으나 아직은 꽃샘추위가 남아있어 밤낮의 기온차가 큽니다. 꽃샘추위 속에서도 봄꽃이 만발하고 한낮에는 봄햇살이 따스해 봄나들이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