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4절기 절기백과

24절기 표

24절기표 

황경(節經)을 구분으로 나타낸 24절기(節氣) 표.


24절기-절기백과 > 24절기-절기학교 > 24절기-선도수행 > 선교총림선림 > 선교(仙敎)


 [24절기표] 민족종교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교육자료.

선교(仙敎), 각 교당의 강의 및 인쇄용 파일은 선교총림선림원에서 보급합니다.(seongyokorea@hanmail.net) 



절기란 무엇일까? - 절기 · 기후 · 계절 · 절후

1년 365일을 15일씩 24등분한 계절의 마디를 절기(節氣) 라고 합니다. _ 15일씩 24등분 "24절기"

1년 365일 12달을 4로 나누어 3개월씩을 1계(季)라고 하여 사계절이 됩니다. _ 3개월씩 "4계절" 

1년 365일을 5일씩 나누어 1후(候)라 하고, 3후(候)가 모인 15일을 1기(氣)이라 합니다. 5일 "1후" · 15일 "1"

즉 절기(節氣)란 태양의 황경(太陽黃經) 0˚인 춘분점에서 15˚ 간격으로 붙여진 기후(氣候)의 전환점 명칭입니다.

절기는 절후(節候)라고도하며, 태양의 움직임 황도(黃道)에 따라 1년을 24로 나누어 정한 날들입니다. 

즉 일년은 4계(季) 24절(節) 72후(候)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년 "4계 · 24절 · 72후"

절기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른 계절적 구분으로,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점으로 15° 간격으로 24개의 점을 찍어 총 24개의 절기로 나타내고 각 절기에 기후를 나타내는 이름을 붙여 24절기의 명칭이 유래되었습니다.  



24절기 음력 양력

24절기는 태양력을 기준으로 합니다. 태양의 움직임인 황도를 이용해 만들었으므로 태양의 운행에 맞춘 태양력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태양력에서 24절기의 날짜는 매년 거의 일정합니다. 태음력은 달의 변화주기와 모양을 통해 날짜를 바로 알기는 쉬우나 계절의 변화를 날짜로 살펴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기에, 농경 사회였던 동아시아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황도에 기준한 절기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동아시아 달력을 태양력과 태음력이 합해진 태양태음력이라 부릅니다.

* 태양년 [太陽年] _ 태양이 황도(黃道) 위의 춘분점을 지나 다시 춘분점에 돌아올 때까지의 시간.

* 절후 [節候] _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눈, 기후의 표준점

 


황경(黃經)과 황도(黃道)

황도(黃道 ecliptic)란 1년 동안 별자리 사이를 움직이는 태양의 경로. 다시말해 태양 주위를 도는 지구의 궤도가 천구(天球)에 투영된 것입니다. 황도는 천구 적도면에 대해 약 23.5° 기울어져 있으며 황도와 적도면의 두 교차점을 춘분점(春分點)과 추분점(秋分點)이라고 합니다. 황도좌표계(黃道座標系)에서는 황경을 춘분점으로부터 황도를 따라서 동쪽으로 각도 단위로 재고, 황위는 황도의 지름으로부터 북쪽 또는 남쪽 각도 단위로 재는 결과 황극은 천구의 극과 23.5° 기울어져 있습니다.

절기(節氣)를 시령(時令) · 절후(節候)라고도 하는데, 황경이란 태양이 춘분(春分)에 지나는 춘분점을 기점으로 하여 황도(黃道:지구에서 보았을 때 태양이 1년 동안 하늘을 한 바퀴 도는 길)에 따라 동쪽으로 움직인 각도를 말하며, 이 황경이 0°일 때를 춘분으로하여,  15° 간격으로 24절기의 날짜가 구분되는 것입니다.



24절기, 황위와 황경

태양의 황위(黃緯)는 절기에 상관없이 대략 0° 입니다. 황도좌표계의 기준이 태양이 지나가는 길인 황도(黃道)이기 때문입니다. 24절기에서의 황경(黃經)은 다음과 같습니다. 

춘분(春分)은 태양의 황경 0°, 하지(夏至)는 태양의 황경 90°, 추분(秋分)은 태양의 황경 180°, 동지(冬至)는 태양의 황경 270°



절기와 계절

1년을 12절기와 12중기로 나누고 이를 보통 24절기라고 하는데, 절기는 한 달 중 월초에 해당하며, 중기(中氣)는 월중에 해당한다. 한 달에서 5일을 1후(候), 3후인 15일을 1기(氣)라 하여 이것이 기후를 나타내는 기초가 됩니다.

태양력에 의하면 절기는 매월 4~8일 사이에 오고, 중기는 19~23일 사이에 옵니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의 황경이 0°인 날을 춘분으로 하여 15° 이동했을 때를 청명 등으로 구분해 15° 간격으로 24절기를 나누었습니다. 따라서 90°인 날이 하지, 180°인 날이 추분, 270°인 날이 동지이며, 춘분에서 하지 사이를 봄, 하지에서 추분 사이를 여름, 추분에서 동지 사이를 가을, 동지에서 춘분 사이를 겨울이라 하여 4계절의 기본으로 삼게 됩니다.

춘하추동의 각 계절은 입춘 · 입하 · 입추 · 입동의 4개의 절기(四立)로 시작되고 있으며, 24절기는 다시 절(節)과 중(中)으로 구분되어 입춘을 비롯한 홀수번째 절기들은 절(節)이 되고, 우수를 비롯한 짝수번째 절기들은 중(中)이 됩니다. 

24절기는 계절을 세분한 것으로, 대략 15일 간격으로 나타낸 달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계절은 태양의 하늘의 위치, 즉 황도 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황경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24절기의 날짜는 해마다 양력으로는 거의 같지만 음력으로는 조금씩 달라집니다.


24절기

봄 절기    _ 입춘(立春), 우수(雨水), 경칩(驚蟄), 춘분(春分), 청명(淸明), 곡우(穀雨)

여름 절기 _ 입하(立夏), 소만(小滿), 망종(芒種), 하지(夏至), 소서(小暑), 대서(大暑)

가을 절기 _ 입추(立秋), 처서(處暑), 백로(白露), 추분(秋分), 한로(寒露), 상강(霜降)

겨울 절기 _ 입동(立冬), 소설(小雪), 대설(大雪), 동지(冬至), 소한(小寒), 대한(大寒)

입춘:양력 2월 4일경, 음력 1월, 태양의 황경이 315°이며, 봄이 시작되는 날이다. 가정에서는 콩을 문이나 마루에 뿌려 악귀를 쫓고, 대문기둥·대들보·천장 등에 좋은 글귀를 써붙인다. 마을에서는 공동으로 입춘굿을 크게 하고 농사의 기초인 보리뿌리를 뽑아 풍흉을 점쳤다.

우수:양력 2월 19일경, 음력 1월중, 태양의 황경이 330°이며, 눈이 비로 변하고 얼음이 녹아 물이 된다는 뜻이다. 이때 대동강 물이 풀리고 물고기가 올라오며, 기러기는 다시 추운 지방을 찾아 떠난다.

경칩:양력 3월 6일경, 음력 2월, 태양의 황경이 345°이며,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어나기 시작한다. 이때 보리싹의 성장을 보고 그해 농사의 풍흉을 가늠했으며, 개구리나 도롱뇽 알을 먹으면 건강에 좋다 하여 먹는 풍습이 있다. 또한 1년 동안의 빈대를 모두 잡기 위해 흙담을 쌓거나, 물에 재를 타서 그릇에 담아 두기도 했다.

춘분:양력 3월 21일경, 음력 2월, 태양의 황경이 0°이며, 태양이 적도를 똑바로 비추고 있어서 낮과 밤의 시간이 같아진다. 농촌지역에서는 흙을 일구고 씨뿌릴 준비를 한다. 그러나 2월 바람에 김칫독 깨진다는 속담이 있듯이 바람이 강해 흔히 꽃샘추위가 찾아온다.

청명:양력 4월 6일경, 음력 3월, 태양의 황경이 15°이며, 봄이 되어 삼라만상이 맑고 밝으며 화창해 나무를 심기에 적당한 시기이다. 대부분 한식일과 겹친다. 농사를 준비하기 위해 논밭둑을 손질하기도 하고, 못자리판을 만들기도 한다.

곡우:양력 4월 20일경, 음력 3월, 태양의 황경이 30°이며, 봄비가 내려 여러 가지 작물에 싹이 트고 농사가 시작된다.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이므로 사람들은 곡우물을 먹으러 깊은 산이나 명산을 찾기도 한다. 수액을 받기 위해 나무에 홈을 파고 통을 매달아 놓은 것을 볼 수 있다.

입하:양력 5월 5일경, 음력 4월, 태양의 황경이 45°이며, 이때부터 여름이 시작된다. 농작물이 자라기 시작하며, 해충과 잡초가 많아져 농가 일손이 바빠진다.

소만:양력 5월 21일경, 음력 4월, 태양의 황경이 60°이며, 햇볕이 충만하고 만물이 자라서 가득차게 된다는 뜻으로 초여름 모내기가 시작된다.

망종:양력 6월 6일경, 음력 4·5월, 태양의 황경이 75°이며, 논보리나 벼 등 까끄라기가 있는 곡식의 씨를 뿌리는 시기이다. 이 시기가 끝날 때까지 밭보리는 베어 햇보리를 먹게 되며, 논에서는 모내기가 한창이므로 농사일이 가장 바쁜 시기이다. 아이들은 보리이삭 줍기와 보리 그스르기에 바쁘다. 밤이슬을 맞은 보리를 먹으면 1년 동안 허리가 아프지 않고, 보릿가루로 죽을 끓여 먹으면 배탈이 없다는 풍습이 있다. 망종이 일찍 들면 보리농사에 좋고 늦게 들면 나쁘다 하여 망종의 시기로 풍흉을 점치기도 했다.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나 음력 4월중에 망종이 들면 좋다고도 한다.

하지:양력 6월 21일경, 음력 5월, 태양의 황경이 90°이며 12시에 태양이 가장 높게 있어 북반구에서는 낮시간이 1년중 가장 길고, 일사량과 일사시간도 가장 많다. 햇감자가 나오고, 이 시기가 지날 때까지 비가 오지 않으면 마을마다 기우제를 올렸다.

소서:양력 7월 7일경, 음력 6월, 태양의 황경이 105°이며 차츰 더워진다. 한국은 장마전선이 걸쳐 있어 습도가 높고, 비가 많이 온다. 농사에 쓸 퇴비를 준비하고 논두렁에 잡초를 뽑는다.

대서:양력 7월 23일경, 음력 6월, 태양의 황경이 120°이며, 더위가 극도에 달한다. 대부분 중복이 겹치며, 장마전선으로 비가 자주 온다.

입추:양력 8월 7일경, 음력 7월, 태양의 황경이 135°이며, 가을이 시작되어 서늘한 바람이 분다. 농촌에서는 다소 한가하며, 김장용 무·배추를 심는다.

처서:양력 8월 23일경, 음력 7월 중순, 태양의 황경이 150°이며, 더위가 멈춘다는 뜻으로 쓸쓸해지기 시작하고 논벼가 익는다. 이때 조상의 묘를 찾아가서 벌초하며, 여름 동안에 습기찼던 옷가지와 이불 등을 햇볕에 말린다. 이 시기가 지나면 아침과 저녁으로 서늘해 일교차가 심해진다.

백로:양력 9월 8일경, 음력 8월, 태양의 황경이 165°이며, 가을 기분이 들기 시작하는데, 이슬 맺힌 것이 하얗게 보인다는 뜻이다. 장마가 끝나고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나, 때로는 늦은 태풍과 해일의 피해를 입기도 한다.

추분:양력 9월 23일경, 음력 8월, 태양의 황경이 180°이며, 춘분으로부터 꼭 반년째 되는 날로 낮과 밤의 길이가 똑같아지며, 추분이 지나면 점차 밤이 길어지므로 계절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논밭의 곡식을 거두어 들이고, 각종 여름 채소들과 산나물 등을 말려두기도 한다.

한로:양력 10월 8일경, 음력 9월, 태양의 황경이 195°이며, 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여 농촌에서는 추수로 바쁜 시기이다. 예전에는 이때를 전후해 국화전을 지져 먹고, 국화술을 담갔으며, 수유를 머리에 꽂아 잡귀를 쫓았다.

상강:양력 10월 23일경, 음력 9월, 태양의 황경이 210°이며,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나, 밤 기온은 서리가 내릴 정도로 매우 낮아져서 춥다. 이맘때쯤이면 추수가 거의 끝나고, 동물들은 일찌감치 겨울잠에 들어간다.

입동:양력 11월 7일경, 음력 10월, 태양의 황경이 225°이며, 겨울이 시작되는 날이다. 각 마을에서는 햇곡식으로 시루떡을 만들어 집안 곳곳에 놓으며, 이웃은 물론 농사에 힘쓴 소에게도 나누어주면서 1년을 마무리하는 제사를 올린다. 또한 각 가정에서는 이날을 기준으로 김장준비를 한다.

소설:양력 11월 22일경, 음력 10월, 태양의 황경이 240°이며, 땅이 얼기 시작하고 살얼음이 얼며 차차 눈이 내리기 시작한다. 가끔은 햇볕이 따뜻해 소춘이라고도 하나, 이때가 되면 바람이 몹시 불어 어촌에서는 뱃길을 금했다. 고려 때 손돌(孫乭)이라는 뱃사공이 왕을 모시고 김포와 강화도 사이의 염하라는 강을 건너는데 갑자기 바람이 불어 풍랑이 심하게 일자 배가 몹시 흔들렸다. 왕은 사공이 배를 일부러 흔든 줄 알고 사공의 목을 베었는데, 이때부터 이곳을 사공의 이름을 따서 손돌목이라 했으며, 매년 이맘때 부는 바람을 손돌바람이라고 하고 김포지역에서는 매년 손돌제를 올린다.

대설:양력 12월 7일경, 음력 11월, 태양의 황경이 255°이며, 눈이 많이 내리는 계절이다. 예전부터 이날 눈이 많이 내리면 다음해에는 풍년이 든다고 했다.

동지:양력 12월 22일경, 음력 12월, 태양의 황경이 270°이며, 북반구에서는 1년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추위도 점차 심해지기 시작한다. 이날 팥죽을 쑤어 이웃과 나누어 먹고, 집안 곳곳에 놓아 악귀를 쫓았다. 새 달력을 만들어 걸었으며, 뱀 사(蛇)자가 씌어진 부적을 벽이나 기둥에 거꾸로 붙여 놓기도 했다. 이날 날씨가 따뜻하면 다음해에 질병이 많고, 눈이 많이 오고 추우면 풍년이 들 것을 예상하기도 했다.

소한:양력 1월 5일경, 음력 12월, 태양의 황경이 285°이며, 본격적으로 추워진다.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옛 말이 있듯이 한국에서는 1년중 가장 춥다.

대한:양력 1월 20일경, 음력 12월, 태양의 황경이 300°이며, 보통 동지가 지난 한 달 후 또는 소한이 지난 반 달 후에 온다. 겨울의 매듭을 짓는 절후로 추위의 절정기이나, 소한에 얼었던 얼음이 대한에 녹을 정도로 따뜻한 해도 있다. 이날 밤에 콩을 땅이나 마루에 뿌려서 악귀를 쫓아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풍습이 있다.

24절기는 중국의 계절현상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한국의 기후와는 좀 다르고, 날짜가 경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양력은 매년 같지만 음력은 조금씩 달라지게 됩니다. 

이 밖에 한식 · 단오 · 삼복 · 추석 등은 한국에서 오래전부터 사용해오던 절기 입니다. 한식은 양력 4월 5 · 6일경,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인데, 한식에는 국가 행사로 종묘와 능원에 제향을 올리고, 각 가정에서도 성묘를 합니다. 단오는 음력 5월 5일이며 명절의 하나로 단양 · 중오절 · 천중절 · 수릿날이라고 합니다. 예로부터 풍작을 기원하며 제사하는 날로 수리취 잎으로 절편을 만들어 먹고, 여인은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뛰기를 하며, 남자는 씨름을 하던 풍습이 전합니다. 삼복은 더위가 시작되는 날로 소서 뒤에 초복(양력 7. 20경), 대서 뒤에 중복(양력 7. 30경), 입추 뒤에 말복(양력 8. 9경)이 옵니다. 말복이 지나야 비로소 더위가 완전히 갔다고 여깁니다. 추석은 음력 8월 15일로 중추절 또는 한가위라고 합니다. 신라의 가배에서 유래하며, 햅쌀로 송편을 빚어 사당에 천신하고 차례를 올리며 벌초와 성묘를 합니다.




24절기와 계절 

계(季)

봄 · 여름 · 가을 · 겨울로 1년을 나눈 단위. 1년은 4계. 1계는 3개월.
첫째 달을 맹(孟), 둘째 달을 중(仲), 세번째 달을 계(季)라고 한다. (예) 맹춘, 중춘, 계춘
   

절(節)
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등 24절기로 1년을 나눈 단위. 1계(季)에 6절(節)이 있다.
또는 매월의 절기(節氣)에서 앞의 것을 말한다. (예) 2월에 드는 입춘 · 우수 중, 입춘이 절(節).
   

기(氣)
매월 두개의 절기 중 뒤에 드는 것이 기(氣).
양력 2월에 입춘과 우수가 있는데, 입춘이 절(節)이고 우수가 기(氣)이다.
   

후(候)
5일을 후(候)라고 한다.
1년은 72후(候), 1계(季)는 18후(候), 1개월은 6후(候), 1절(節)은 3후(候)로 되어있다.
   

계절(季節)
원래 의미의 변화로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자연현상에 따라서 1년을 구분한 것이 됨.
일반적으로 온대 지방에서는 기온차이를 기준으로 봄 · 여름 · 가을 · 겨울의 네 계절로 나누고
열대 지방에서는 강우량을 기준으로 건기와 우기로 나눈다.
   

기후(氣候)
원래 의미의 변화로 1년의 24절기와 72후 기온 날씨상태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 됨.
기온, 비, 눈, 바람 따위의 대기(大氣) 상태나 일정지역에서 여러 해에 걸쳐 나타난 평균 상태.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의 "역일(曆日)의 기후(氣候)" 

1월 입춘은 1월의 절기이고 우수는 1월의 중기이다. 동풍이 불어서 언 땅이 녹고 땅속에서 잠자던 벌레들이 움직이기 시작하면 물고기가 얼음 밑을 돌아다닌다. 수달이 물고기를 잡아다 늘어놓고, 기러기가 북으로 날아가며, 초목에서 싹이 튼다.

2월 경칩은 2월의 절기이고, 춘분은 2월의 중기이다. 복숭아가 꽃이 피기 시작하고 꾀꼬리가 울며 매가 화(化)하여 비둘기가 되고 제비가 날아온다. 우뢰가 울고 번개가 친다.

3월 청명은 3월의 절기이고, 곡우는 3월의 중기이다. 오동(梧桐)이 꽃피기 시작하고, 들쥐가 화하여 종달새가 되며, 무지개가 나타나고, 마름[萍:개구리밥과에 속하는 다년생물풀]이 생기기 시작한다. 산비둘기가 깃을 털고, 뻐꾸기가 뽕나무에 내려앉는다.

4월 입하는 4월의 절기이고, 소만은 4월의 중기이다. 청개구리가 울고 지렁이가 나오며, 왕과(王瓜)가 나고 씀바귀가 뻗어 오르며, 냉이[靡草]가 죽고 보리가 익는다.

5월 망종은 5월의 절기이고, 하지는 5월의 중기이다. 버마재비[螗螂]가 생기고, 왜가리가 울기 시작하며, 지빠귀[反舌]가 울음을 멈추고, 사슴의 뿔이 떨어진다. 매미가 울기 시작하고 반하(半夏)의 알이 앉는다.

6월 소서는 6월의 절기이고, 대서는 6월의 중기이다. 더운 바람이 불고 귀뚜라미가 벽에 다니며, 매가 사나워지고, 썩은 풀이 화하여 반딧불이 된다. 흙이 습하고 더워지며, 큰 비가 때로 내린다.

7월 입추는 7월의 절기이고, 처서는 7월의 중기이다. 서늘한 바람이 불고 이슬이 내리며, 쓰르라미가 울고 매가 새를 많이 잡는다. 천지가 쓸쓸하여지기 시작하고 벼가 익는다.

8월 백로는 8월의 절기이고, 추분은 8월의 중기이다. 기러기가 날아오고, 제비가 돌아가며, 뭇새들이 먹이를 저장하고, 우뢰가 소리를 거둔다. 겨울철 땅 속에서 잠을 자는 벌레들이 흙으로 창을 막고, 물이 마르기 시작한다.

9월 한로는 9월의 절기이고, 상강은 9월의 중기이다. 기러기가 날아오고, 참새가 큰물[大水]에 들어서 조개[蛤]가 되며, 국화가 노랗게 꽃피고, 승냥이가 짐승을 잡는다. 초목이 누렇게 낙엽지고, 땅 속에서 잠을 자는 벌레들이 모두 땅 속으로 들어간다.

10월 입동은 10월의 절기이고, 소설은 10월의 중기이다. 물이 얼기 시작하고 땅이 얼기 시작하며, 꿩이 큰물로 들어가서 조개[蛤]가 되고, 무지개가 걷혀서 나타나지 않는다. 천기(天氣)는 상승하고, 지기(地氣)는 하강하여 폐색(閉塞)되어 겨울이 된다.

11월 대설은 11월의 절기이고, 동지는 11월의 중기이다. 할단새[鶡鴠]가 울지 않고, 범이 교미를 시작하며, 여지(荔枝)가 돋아나고, 지렁이가 교결(交結)한다. 고라니의 뿔[麋角]이 떨어지고 샘물이 언다.

12월 소한은 12월의 절기이고, 대한은 12월의 중기이다. 기러기가 북으로 돌아가고, 까치가 깃을 치기 시작하며, 닭이 알을 품는다. 나는 새가 높고 빠르며, 물과 못이 두껍고 단단하게 언다.




※ 본 콘텐츠는 저작권과 관련합니다. 무단복사 편집을 금합니다.
※ 내용출처1. 취정원사님 "24절기-생활속의 선도수행" 강의내용
※ 내용출처2. 선교 정기간행물 [仙敎] "생활속의 선도수행(2008~)" 내용
선림원 절기학교 수강문의 seongyokorea@hanmail.net 


#24절기 #오행 #음양오행 #오행일람표 #24절기표 #24절기날짜 #한국의세시풍속 #선도 #선도수행 
#생활속의선도수행 #24절기선도수행 #선도공법 #한국의선도 #선교수행 #선교 #仙敎


민족종교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
선교 仙敎 https://www.seongyo.kr/   24절기-절기백과 https://www.seongyo.kr/season-encyclopedia


'24절기 절기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절기의 유래와 시기  (0) 2020.03.27
24절기의 유래  (0) 2020.03.27
24절기 표  (0) 2020.03.27
24절기 양력 음력  (0) 2020.03.26
24절기  (0) 2020.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