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4절기 선도수행

[절기문화원] 춘분(春分)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문화 춘분(春分)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 문화 2025년 24절기 춘분 날짜와 시간3월 20일 오후18시 01분 28초 (음력 2.21)춘분, 봄 춘(春) 나눌 분(分) / 황경 0°, 해의 중심이 춘분점(春分點) 위에 왔을 때.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  ※ 춘분(春分) 유래 · 풍속 · 속담·  음식  #24절기춘분 #춘분유래 #춘분풍속 #춘분속담 #춘분절식 24절기 춘분(春分), 밤낮의 길이가 같은 춘분점 매화꽃 만발하다24절기 춘분(春分), 매화꽃 만발하는 봄의 절기.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춘분점(春分點)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네번째 절기 “춘분(春分)”에 대해 알아봅니다. 춘분은 밤과 낮seonlimwon-healingforest.tistory.com ※ 춘분(春分) 절기법.. 더보기
[절기문화원] 경칩(驚蟄)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문화 경칩(驚蟄)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 문화 2025년 24절기 경칩 날짜와 시간3월 5일 오후17시 07분 15초 (음력 2.6)경칩, 놀랄 경(驚) 숨을 칩(蟄) / 비가 내리고 첫 천둥이 치니, 만물이 놀라서 깨어난다.  ※ 경칩(驚蟄) 유래 · 풍속 · 속담·  음식  #24절기경칩 #경칩유래 #경칩풍속 #경칩속담 #경칩절식  [경칩] 24절기 경칩(驚蟄) “겨울잠에서 개구리 깨어나고 새싹이 난다”경칩(驚蟄) 24절기 중 세번째 절기 “경칩이 되면, 동물들이 겨울잠에서 깨어나고 봄바람이 불어 새싹이 나며 매화와 산수유가 피어난다.” 한국의 선교 /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 경칩(seonlimwon-healingforest.tistory.com※ 경칩(驚蟄) 절기법문  #경칩법문 #취정원사.. 더보기
[절기문화원] 우수(雨水)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문화 우수(雨水)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 문화 ※ 우수(雨水) 유래 · 풍속 · 속담·  음식  #24절기우수 #우수유래 #우수풍속 #우수속담 #우수절식 [우수] 24절기 우수(雨水) “꽃샘추위 속에서 눈이 녹아 비가 된다”우수(雨水) 24절기 중 두번째 절기 “우수가 되면, 꽃샘추위 속에서 눈이 녹아 비가 된다.” 한국의 선교 /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 우수(雨水), 눈이 녹아 물이 되고 봄비가 내리는 초봄seonlimwon-healingforest.tistory.com※ 우수(雨水) 절기법문   #우수법문 #취정원사님 #선도법문 #절기법회 [우수 절기법문] 선교 취정원사, 24절기 선도법문(仙道法文) “우수(雨水), 천지간 율려의 조화로선교 창교주 취정원사 선도법문 · 雨水 節氣法文 우수(雨.. 더보기
[절기문화원] 입춘(立春)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문화 입춘(立春)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 문화 ※ 입춘(立春) 유래 · 풍속 · 속담·  음식  #24절기입춘 #입춘유래 #입춘풍속 #입춘속담 #입춘절식 #춘축 #춘첩자 24절기 입춘(立春), 봄이 시작되는 첫번째 절기24절기 입춘(立春), 봄을 시작하는 첫 절기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첫번째 절기 “입춘(立春)”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입춘은 일년 절기력(節氣曆)의 첫번째 절기로 봄이 들seonlimwon-healingforest.tistory.com※ 입춘(立春) 절기법문  #입춘법문 #취정원사님 #선도법문 #절기법회 [입춘 절기법문] 선교 취정원사, 24절기 선도법문(仙道法文) “입춘(立春), 천지간 율려의 조화로선교 창교주 취정원사님 절기법문 · 立春 仙道法文 입춘(立春)이 .. 더보기
[입춘 수행] 24절기 입춘 “동풍인” 선도선법 /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 입춘 / 선교총림 시정원주님 선도선법 / 절기체조 · 절기명상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 선도수행 春 · 봄 춘계 봄 절기(春季節氣) / 입춘(立春) · 우수(雨水) · 경칩(驚蟄) · 춘분(春分) · 청명(淸明) · 곡우(穀雨) 선교총림선림원 봄철 절기수행 / 취정원사님 춘계 절기법문 · 시정원주님 봄 절기명상 · 선인교당 절기체조 [입춘] 취정원사님 선도법문 “24절기는 하늘의 율려조화” / 절기선원 [입춘] 취정원사님 선도법문 “24절기는 하늘의 율려조화” / 절기선원 24절기 입춘 / 立春·仙敎 / 선교 창교주 취정원사님 선도법문 취정원사님 입춘절기 선도법문 “24절기는 하늘의 율려조화” 聚正元師立春節氣仙道法文 二十四節氣宇宙天地律呂造化 ○ 세상의 seonlimwon-healingfo.. 더보기
[경칩 선도수행] 선교총림 시정원주, 경칩(驚蟄) 선도선법(仙道禪法) “기풍화(氣風和)” _ 24절기 선도수행 경칩(驚蟄) 경칩은 일년 절기력(節氣曆)의 세번째 절기로 봄비가 내리고 겨울잠에 들었던 동물들이 깨어나 활동을 시작하는 중춘(仲春)의 절기입니다. 우수(雨水)와 춘분(春分) 사이에 들며, 음력 2월 양력으로 3월 5일경, 태양이 황경 345° 위치에 있을때 듭니다. 계칩(啓蟄)이라고도 합니다. 경칩(驚蟄)의 한자 그대로 ‘일어나다’ 의 뜻인 ‘놀랄 경(驚)’ 과 ‘겨울잠 자는 벌레’를 뜻하는 ‘숨을 칩(蟄)’이라하여, 땅속에 들어가서 동면을 하던 동물들이 깨어나서 꿈틀거리기 시작하고 초목의 싹이 돋아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경칩 절기가 든 음력 2월은 예로부터 영등달 이라하여 영등할망이 바람을 몰고 온다하여 재계과 근신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겨우내 움추렸던 산천초목과 사람이 따스한 봄기운에 가벼이 행동하.. 더보기
[우수 절기수행] 선교총림 시정원주, 우수(雨水) 선도선법(仙道禪法) “소생진(蘇生振)” _ 24절기 선도수행 우수(雨水)우수는 일년 절기력(節氣曆)의 두번째 절기로 봄비가 내리는 초봄의 절기(節氣)로, 입춘(立春)과 경칩(驚蟄) 사이에 들며, 음력 1월 양력으로 2월 20일경, 태양이 황경 330°의 위치에 있을 때에 듭니다. 우수(雨水)는 비 우(雨)에 물 수(水)로, 얼음과 눈이 녹아 비가 된다 · 봄비가 내린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우수 · 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 는 말도 생겨났습니다. 흔히 양력 2월 말에서 3월 초 꽃샘추위라 하여 매서운 추위가 잠시 기승을 부리지만, 이미 우수 무렵이면 날씨가 많이 풀리고 온화해져 초목에 싹틉니다.  민족종교 선교(仙敎)에서는 24절기 중 두번째 절기 우수(雨水) 절기에 맞는 선도수행법을 전수합니다. 2021년 우수(雨水) 절기에 선교(仙敎)에서는 선교 취정원.. 더보기
[입춘 절기수행] 선교총림 시정원주 24절기 선도수행 _ 동풍인(東風仁) 선도선법(仙道禪法) 입춘(立春) 입춘(立春)의 유래, 입춘은 일년 절기력(節氣曆)의 첫번째 절기로 봄이 들어서는 절기. 황경 315도. 대한과 우수 사이에 든다. 입춘 날짜는 음력 1월, 양력으로는 2월 3~4일경이다. 동풍이 불고 날이 풀리면서 언 땅이 녹으며 봄이 시작된다. 입춘(立春)의 한자는 '설 립(立)'에 '봄 춘(春)'으로, 봄의 기운이 선다 · 봄이 시작된다는 의미. 입춘에 비가 오면 “입춘우(立春雨)”라고 하여 만물을 퐁요롭게하고 좋은일이 많다. 선교(仙敎)에서는 24절기 중 첫번째 절기 입춘(立春) 절기에 “입춘치성”을 하며, 입춘첩과 봄나물을 나누어 포덕합니다. 선교 창교주 취정원사님께서 수행대중에 내리신 “천지인합일 선농무일여 참선, 농선, 무예선 _ 선교수행”에 근거하여, 선교에서는 입춘일 후 첫 해.. 더보기
24절기 대한(大寒), 일년 절기력(節氣曆)의 마지막 절기 24절기 대한(大寒) 일년 24절기를 매듭짓는 마지막 절기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스물네번째 절기 “대한(大寒)”에 대해 공부합니다. 대한(大寒)은 일년(一年) 절기력(節氣曆)의 마지막 절기로 일년의 마지막달인 섣달에 듭니다. 대한 절기는 소한(小寒)과 입춘(立春) 절기 사이에 들며, 양력으로는 1월 20일경 음력으로는 12월 중에 듭니다. 대한(大寒)은 큰 대(大) 차가울 한(寒)으로 큰 추위를 말하는 것이지만 사실은 작은 추위를 뜻하는 소한(小寒) 때보다 추위가 조금 누그러집니다. 대한(大寒)은 겨울을 매듭짓는 절후로 보아, “대한(大寒)의 마지막 날”을 “절분(節分)”이라 하여 “계절적 섣달그믐”이라 여겼습니다. 그래서 입춘 전날 밤을 “절분” 또는 “해넘이”라 하며, 절분 다음날은.. 더보기
24절기 소한(小寒), 한파에 산천초목 얼어붙는 가장 추운 시절 24절기 소한(小寒) 일년 중 가장 추운 한겨울 절기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스물세번째 절기 “소한(小寒)”에 대해 공부합니다. 소한(小寒)은 24절기 중 스물세번째 절기로 동지(冬至)와 대한(大寒) 절기 사이에 들며, 양력으로는 1월 5일경 음력으로는 12월 중에 듭니다. 소한(小寒)은 한자로 작을 소(小) 차가울 한(寒), 작은 추위를 말하는 것이지만 사실은 큰 추위를 뜻하는 대한(大寒) 보다 더 춥다고하여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왔다가 얼어죽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한파가 닥치고 추위가 심합니다. 민족종교 선교(仙敎)에서는 소한 절기에 선교(仙敎)에서는 시무고사와 함께 선교종단의 일년 수행의 본(本)이 되는 취정원사님의 신년교유를 받게됩니다. 소한(小寒)절기에 환인하느님께 올리는 .. 더보기
24절기 동지(冬至), 일년 중 밤이 가장 긴 한겨울 24절기 동지(冬至) 작은 설 동지, 일년 중 밤이 가장 긴 한겨울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스물두번째 절기 “동지(冬至)”에 대해 공부합니다. 동지(冬至)는 한자로 겨울 동(冬)과 이를 지(至), 겨울의 정점에 이르렀다는 의미입니다. 동지(冬至)는 일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으며,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드는 겨울 절기로, 음력으로는 11월 말, 양력으로는 12월 22일 경입니다. 동짓날은 팥죽을 쑤어 사당과 당산에 올려 천신하거나 이웃과 나누어 먹고, 집안 곳곳에 놓아 악귀를 쫓는 벽사의 풍습이 있습니다. 민족종교 선교(仙敎)에서는 12월 1일부터 21일까지 삼칠일동안 선교정회력(仙敎正回曆)을 근간으로 일년간의 수행을 되돌아보며 포성기도(布省祈禱)를 올립니다. 포성.. 더보기
24절기 대설(大雪), 동짓달 기나긴 밤에 눈은 내리고.. 24절기 대설(大雪) 동짓달 긴긴밤 소리없이 눈은 내리고 .. 깊어가는 겨울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스물한번째 절기 “대설(大雪)”에 대해 공부합니다. 대설(大雪)은 한자로 큰 대(大)와 눈 설(雪), 큰 눈이 내린다는 한겨울 절기입니다. 대설은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에 드는 한겨울 절기로 음력으로는 11월, 양력으로 12월 7일경 입니다. 눈이 내리고 동짓달 긴긴밤 한파가 닥칩니다. 대설(大雪) 절기는 눈이 많이 내린다고해서 대(大) 설(雪) 이지만 실상 아직은 대설주의보가 내리기보다는 북풍이 몰아치고 급격히 기온이 떨어져 한파주의보가 발령되는 곳이 많습니다. 대설 즈음에는 김장도 마무리되고 길일(吉日)을 택하여 메주를 쑤는 절기풍습이 있습니다. 민족종교 선교(仙敎)에서는 대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