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기법회 썸네일형 리스트형 [절기문화원] 우수(雨水)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문화 우수(雨水)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 문화 ※ 우수(雨水) 유래 · 풍속 · 속담· 음식 #24절기우수 #우수유래 #우수풍속 #우수속담 #우수절식 [우수] 24절기 우수(雨水) “꽃샘추위 속에서 눈이 녹아 비가 된다”우수(雨水) 24절기 중 두번째 절기 “우수가 되면, 꽃샘추위 속에서 눈이 녹아 비가 된다.” 한국의 선교 /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 우수(雨水), 눈이 녹아 물이 되고 봄비가 내리는 초봄seonlimwon-healingforest.tistory.com※ 우수(雨水) 절기법문 #우수법문 #취정원사님 #선도법문 #절기법회 [우수 절기법문] 선교 취정원사, 24절기 선도법문(仙道法文) “우수(雨水), 천지간 율려의 조화로선교 창교주 취정원사 선도법문 · 雨水 節氣法文 우수(雨.. 더보기 [절기선원] 24절기 “대한” 생활속의 선도수행 - 선교仙敎 24절기 대한(大寒), 일년 24절기의 마지막 절기 #대한 24절기 대한(大寒)음력 섣달을 매듭짓는 24절기의 마지막 절기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스물네번째 절기 “대한(大寒)”에 대해 공부합니다. 대한(大寒) 절기는 24절기 중 스물네번째 절기로 일년(一年) 절기력(節氣曆)의 마지막 절기입니다. 대한(大寒)은 큰 대(大) 차가울 한(寒)으로 큰 추위를 말하는 것이지만 사실은 작은 추위를 뜻하는 소한(小寒) 때보다 추위가 조금 누그러집니다. 대한(大寒)은 소한(小寒)와 입춘(立春) 사이에 있으며 양력으로는 1월 20일경 음력으로는 12월 중에 듭니다. 대한(大寒)은 겨울을 매듭짓는 절후로 보아, “대한(大寒)의 마지막 날”을 “절분(節分)”이라 하여 “계절적 섣달그믐”이라 여겼습니다.. 더보기 [절기선원] 24절기 “소한” 생활속의 선도수행 - 선교仙敎 24절기 소한(小寒), 한파에 산천초목 얼어붙는 가장 추운 시절 #소한 24절기 소한(小寒)일년 중 가장 추운 한겨울 절기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스물세번째 절기 “소한(小寒)”에 대해 공부합니다. 소한(小寒)은 24절기 중 스물세번째 절기로 동지(冬至)와 대한(大寒) 절기 사이에 들며, 양력으로는 1월 5일경 음력으로는 12월 중에 듭니다. 소한(小寒)은 한자로 작을 소(小) 차가울 한(寒), 작은 추위를 말하는 것이지만 사실은 큰 추위를 뜻하는 대한(大寒) 보다 더 춥다고하여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왔다가 얼어죽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한파가 닥치고 추위가 심합니다. 민족종교 선교(仙敎)에서는 소한 절기에 선교(仙敎)에서는 시무고사와 함께 선교종단의 일년 수행의 본(本)이 되는 취..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