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원 썸네일형 리스트형 [절기문화원] 청명(淸明)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문화 청명(掅明)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 문화 2025년 24절기 청명 날짜와 시간4월 4일 밤21시 48분 33초 (음력 3.7)청명, 맑을 청(淸) 밝을 명(明) / 황경 15°, 하늘은 맑고 산천초목 푸르른 화창한 봄 ※ 청명(淸明) 유래 · 풍속 · 속담· 음식 #24절기청명 #청명유래 #청명풍속 #청명속담 #청명절식 ※ 청명(淸明) 절기법문 #청명법문 #취정원사님 #선도법문 #절기법회 #산천법회※ 청명(淸明) 산천법회 #청명절기수행 #선교총림 #선림원 #시정원주 #절기명상 #절기체조 24절기 청명(淸明), 하늘은 맑고 산천초목은 푸르른 완연한 봄24절기 청명(淸明), 하늘은 맑고 산천초목을 푸르러지는 화창한 봄날. 농사일이 바빠지는 농번기의 시작.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 더보기 [절기문화원] 춘분(春分)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문화 춘분(春分)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 문화 2025년 24절기 춘분 날짜와 시간3월 20일 오후18시 01분 28초 (음력 2.21)춘분, 봄 춘(春) 나눌 분(分) / 황경 0°, 해의 중심이 춘분점(春分點) 위에 왔을 때.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 ※ 춘분(春分) 유래 · 풍속 · 속담· 음식 #24절기춘분 #춘분유래 #춘분풍속 #춘분속담 #춘분절식 24절기 춘분(春分), 밤낮의 길이가 같은 춘분점 매화꽃 만발하다24절기 춘분(春分), 매화꽃 만발하는 봄의 절기.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춘분점(春分點)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네번째 절기 “춘분(春分)”에 대해 알아봅니다. 춘분은 밤과 낮seonlimwon-healingforest.tistory.com ※ 춘분(春分) 절기법.. 더보기 [절기문화원] 우수(雨水)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문화 우수(雨水)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 문화 ※ 우수(雨水) 유래 · 풍속 · 속담· 음식 #24절기우수 #우수유래 #우수풍속 #우수속담 #우수절식 [우수] 24절기 우수(雨水) “꽃샘추위 속에서 눈이 녹아 비가 된다”우수(雨水) 24절기 중 두번째 절기 “우수가 되면, 꽃샘추위 속에서 눈이 녹아 비가 된다.” 한국의 선교 /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 우수(雨水), 눈이 녹아 물이 되고 봄비가 내리는 초봄seonlimwon-healingforest.tistory.com※ 우수(雨水) 절기법문 #우수법문 #취정원사님 #선도법문 #절기법회 [우수 절기법문] 선교 취정원사, 24절기 선도법문(仙道法文) “우수(雨水), 천지간 율려의 조화로선교 창교주 취정원사 선도법문 · 雨水 節氣法文 우수(雨.. 더보기 [절기문화원] 2025년 24절기 날짜와 시간 - 24절기표 한국의 민족종교 선교(仙敎) / 선교총림 선림원 / 절기문화원※24절기 표 24절기-절기학교 > 24절기-선도수행 > 선교총림선림원 > 선교(仙敎) ▲ [24절기표] 민족종교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 data-og-host="seonlimwon-healingforest.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seonlimwon-healingforest.tistory.com/entry/24%EC%A0%88%EA%B8%B0-%ED%91%9C" data-og-url="https://seonlimwon-healingforest.tistory.com/entry/24%EC%A0%88%EA%B8%B0-%ED%91%9C" data-og-image="https://scrap.kaka.. 더보기 24절기 동지(冬至), 일년 중 밤이 가장 긴 동짓달 절기 / 2024년 동지 드는 시간 날짜 선림원 절기학교 · 24절기 동지2024년 동지 드는 시간 & 날짜 / 절입시각(節立時刻) 2024년 갑진년 동지 날짜와 입절시각 : 12월 21일 · 18시 20분 33초 (음 11.21) 민족종교 선교(仙敎),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스물두번째 절기 “동지(冬至)”에 대해 공부합니다. 동지(冬至)는 한자로 겨울 동(冬)과 이를 지(至), 겨울의 정점에 이르렀다는 의미입니다. 동지(冬至)는 일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으며,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드는 겨울 절기로, 음력으로는 11월 말, 양력으로는 12월 22일 경입니다. 동짓날은 팥죽을 쑤어 사당과 당산에 올려 천신하거나 이웃과 나누어 먹고, 집안 곳곳에 놓아 악귀를 쫓는 벽사의 풍습이 있습니다. 민족종교 선교.. 더보기 [입춘 유래 풍속] 立春 · 봄 기운이 서다 · 봄이 시작되다 / 절기학교 한국의 24절기 / 입춘(立春) / 선교총림 절기문화원 立春 / 입춘, 봄의 시작 立春 / 입춘 유래, 24절기 중 첫번째 절기. 황경 315도 立春 / 입춘 기후, 설 립(立) 봄 춘(春). 동풍이 불어 얼음이 녹는다. 입춘(立春) 봄이 시작되는 한 해의 첫번째 절기 “입춘이 되면 천지간 율려의 조화로 봄기운이 시작된다.” 한국의 선교 /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 입춘(立春), 봄을 시작하는 첫 절기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첫번째 절기 “입춘(立春)”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입춘은 일년 절기력(節氣曆)의 첫번째 절기로 봄이 들어서는 절기(節氣)입니다. 입춘(立春)은 설 립(立)에 봄 춘(春)으로, 봄의 기운이 선다 · 봄이 시작된다는 의미입니다. 입춘에 비가 오면 “입춘우(立.. 더보기 2022년 24절기 우수(雨水) #우수날짜 #우수시간 _ 선림원 절기학교 2022년 24절기 음력양력 날짜와 시간 환기9219년 단기4355년 선기56년 임인년 절기력 2022년 임인년 우수 날짜와 우수 입절시각 : 양력 2월 19일 · 01시 43분 02초 (음력1.19) 2022년 24절기 날짜와 절기가 시작되는 시간을 알아봅니다. 절기가 드는 시간을 입절시각, 또는 절입시각이라고 합니다. “입절(立節)이란 설 립(立) · 마디 절(節)로 천지간 율려(律呂)의 조화로써 황경(黃經)에 따라 각각의 절기(節氣)가 바르게 정립한다는 의미이다.” _ 선교경전 「선교전」 / 2022년 24절기 전체 날짜와 정확한 시각(時刻)을 표로 정리해서 공지합니다. 대부분 시간(時間)과 시각(時刻)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는데, 살펴보자면 시간은 흐름을 말하고 시각은 시간의 한 점을 말한다고 할.. 더보기 2022년 24절기 입춘(立春) #입춘날짜 #입춘시간 _ 선림원 절기학교 2022년 24절기 입절시각 임인년 이십사절기, 절기 드는 시간 한국의 선교(仙敎) /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에서 입춘절기를 맞아 일년 절기력의 입절시각, 절기 드는 시간을 공지합니다. #입춘 #입춘시간 #2022입춘시각 #2022년24절기 2022년 24절기 음력양력 날짜와 시간 환기9219년 단기4355년 선기56년 임인년 절기력 2022년 임인년 입춘 날짜와 입춘 입절시각 : 양력 2월 4일 · 05시 50분 48초 (음력1.4) 2022년 24절기 날짜와 절기가 시작되는 시간을 알아봅니다. 절기가 드는 시간을 입절시각, 또는 절입시각이라고 합니다. “입절(立節)이란 설 립(立) · 마디 절(節)로 천지간 율려(律呂)의 조화로써 황경(黃經)에 따라 각각의 절기(節氣)가 바르게 정립한다는 의미이다... 더보기 24절기 소한(小寒), 한파에 산천초목 얼어붙는 가장 추운 시절 24절기 소한(小寒) 일년 중 가장 추운 한겨울 절기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스물세번째 절기 “소한(小寒)”에 대해 공부합니다. 소한(小寒)은 24절기 중 스물세번째 절기로 동지(冬至)와 대한(大寒) 절기 사이에 들며, 양력으로는 1월 5일경 음력으로는 12월 중에 듭니다. 소한(小寒)은 한자로 작을 소(小) 차가울 한(寒), 작은 추위를 말하는 것이지만 사실은 큰 추위를 뜻하는 대한(大寒) 보다 더 춥다고하여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왔다가 얼어죽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한파가 닥치고 추위가 심합니다. 민족종교 선교(仙敎)에서는 소한 절기에 선교(仙敎)에서는 시무고사와 함께 선교종단의 일년 수행의 본(本)이 되는 취정원사님의 신년교유를 받게됩니다. 소한(小寒)절기에 환인하느님께 올리는 .. 더보기 24절기 백로(白露), 흰 이슬이 내리는 선선한 가을 · 포도순절(葡萄旬節) 24절기 백로(白露) 밤 기온이 이슬점 아래로 내려가 흰 이슬이 맺히는 가을 절기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다섯번째 절기 “백로”에 대해 알아봅니다. 백로(白露)는 한자로 흰 백(白)와 이슬 로(露) “白露”라고 합니다. “白露”는 “흰 이슬”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백로 절기가 되면 밤 기온이 이슬점(공기 속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이슬이 생기기 시작하는 온도) 이하로 내려가서 풀이나 물체에 하얀 이슬이 맺히게되는 것에서 백로라 칭하게 되었습니다. 백로절기에는 날씨가 선선해지며 백로 말후에는 완연한 가을 분위기가 납니다. 민족종교 선교에서는 선림원절기학교 가을학기를 진행하여, 취정원사님의 교화법문 “24절기 생활속의 선도수행”을 근간으로 수행하며 “백로절기 섭생법” 및 “.. 더보기 24절기 대서(大暑), 폭염의 한가운데 중복(中伏) 24절기 대서(大暑)염소 뿔도 녹는다는 불볕더위 중복(中伏)의 절기, 한여름 열대야 폭염주의보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두번째 절기 “대서”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대서(大暑)는 한자로 큰 대(大)와 더위 서(暑) “大暑”라고 합니다. 대서(大暑) 절기에는 중복(中伏)이 드는데, 복날은 초복 · 중복 · 말복의 삼복(三伏)을 이릅니다. 복(伏)날은 ‘장차 일어나고자 하는 음기가 양기에 눌려 엎드려 있는 날’이라는 뜻 입니다. 오행(五行)에서 여름(夏)은 ‘불(火)’에 속하고, 가을은 ‘쇠(金)’에 속하는데, “여름 불기운에 가을의 쇠 기운이 3번 굴복한다.”라는 뜻으로 ‘복(伏)’자를 써서 삼복(三伏)이라 합니다. 대서는 양력으로 7월 22일 또는 23일경에 듭니다. 민족종교 선교에서는 선림원절.. 더보기 24절기 하지(夏至), 태양은 가장 높이 뜨고 낮이 가장 긴 한여름 24절기 하지(夏至)일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 시간이 가장 긴 날. 하지감자를 캐고 마늘 수확을 마무리하는 등 장마 대비에 바쁜 한여름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번째 절기 “하지”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하지(夏至)는 한자로 여름 하(夏)와 이를 지(至) “하지(夏至)”라고 합니다. 하지(夏至)에는 정오(正午)의 태양이 가장 높이 뜨며, 북반구를 기준으로 볼때 낮이 가장 긴 날입니다. 하지 즈음에는 장마가 시작되기 전 포실하게 여문 “하지감자”를 캡니다. 농작물의 성장이 가장 활발할 때입니다. 하루가 다르게 논밭에 풀이 무성하여지므로 밭매기 등 제초작업이 바쁩니다. 하지는 양력으로 6월 21일 22일경에 들며, 단오부터 시작된 모내기가 하지에 이르면 모두 마무리되므로 이때까지 비가 오..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