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도수행

24절기 입동 뜻 · 날짜 · 시간 · 이미지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 선도수행 / 입동 / 민족종교 선교 공식홈페이지 www.seongyo.kr 2022년 입동 절기 날짜 & 시간 2022, 임인년 입동(立冬) 입절시각(立節時刻) : 11월 7일 (음력10.14) 오후 19시 45분 29초 입동(立冬)의 뜻과 유래 입동의 유래 / 입동의 뜻 / 입동 한자 / 입동은 몇번째 절기? 입동(立冬)는 24절기 중 열아홉번째 절기로 상강(霜降)과 소설(小雪)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 10월 중순, 양력으로 11월 7일경 입니다. 입동(立冬)은 한자로 겨울 동(冬)과 설 립(立), 겨울이 시작되는 날입니다. 찬바람이 강해지고 낙엽이 쌓이며 지역에 따라 첫눈이 내리기도 합니다. 입동이 되면 북쪽지방부터 김장을 준비를 시작하며 겨울채비를 합니다. 입동 절기 15일간을 5일씩 끊어.. 더보기
24절기 상강 뜻 · 날짜 · 시간 · 이미지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 선도수행 / 상강 / 민족종교 선교 공식홈페이지 www.seongyo.kr 2022년 상강 절기 날짜 & 시간 2022 임인년 상강(霜降) 입절시각(立節時刻) : 10월 23일 (음력9.28) 오후 19시 35분 42초 상강(霜降)의 뜻과 유래 상강의 유래 / 상강의 뜻 / 상강 한자 / 상강은 몇번째 절기? 상강(霜降)는 24절기 중 열여덟번째 절기로 한로(寒露)과 입동(立冬)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 9월 말, 양력으로 10월 23일경 입니다. 밤기온이 현저하게 내려가 수증기가 지표에 차갑게 엉겨 서리가 내리기 시작 합니다. 상강은 한자로 서리 상(霜)과 내릴 강(降) “霜降”이라고 합니다. 태양의 황경이 210°이며, 한로 뒤 15일째 날로, 상강이 되면 날씨가 맑고 쾌청하며 찬서리가 내리고.. 더보기
24절기 추분 뜻 · 날짜 · 시간 · 이미지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민족종교 선교 / 24절기 선도수행 / 추분 선교 공식홈페이지 www.seongyo.kr 2022년 추분 절기 날짜 & 시간 2022 임인년 추분(秋分) 입절시각(立節時刻) : 9월 23일 (음력8.28) 오전 10시 03분 42초 추분 뜻 & 유래 추분의 유래 / 추분의 뜻 / 추분 한자 / 추분은 몇번째 절기? 추분(秋分)는 24절기 중 열여섯번째 절기로 백로(白露)와 한로(寒露) 사이에 들며, 양력 9월 23일경 입니다. 추분(秋分)이라는 말은 한자로 가을(秋)의 분기점(分)이라는 뜻에서 유래했습니다. 태양의 황경이 180°로 춘분(春分)과 대치점이 됩니다. 추분 기간에 대한 이런 설명은 조선 초 이순지(李純之)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 등 한국의 여러 문헌에도 인용되고 있습니다. “秋.. 더보기
2022년 24절기 입추(立秋) #입추날짜 #입추시간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선교|24절기|선도수행 한국의 24절기 입추(立秋) 환기9219년 단기4355년 선기56년 임인년 절기력(節氣曆) 2022년 24절기 입추, 양력음력 날짜 & 시간 #2022년 #24절기 #입추 #입추날짜 #입추입절시각 : 양력 8월 7일 · 21시 29분 10초 (음력7.10) ※ 24절기 입추(立秋), 가을의 시작 _ 24절기 중 열세번째 절기 입추(立秋)의 유래와 세시풍속 24절기 입추(立秋), 가을의 시작 입추立秋, 24절기 중 열세번째 절기. 말복(末伏)더위 속에서 "가을"이 시작되다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세번째 절기 "입추"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입 seonlimwon-healingforest.tistory.com ※ 24절기 입추(立秋), 가을의 시.. 더보기
2022년 24절기 망종(芒種) #망종날짜 #망종시간 _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022년 24절기 양력음력 날짜 & 시간 환기9219년 단기4355년 선기56년 임인년 절기력 #2022년 #망종날짜 #망종입절시각 #망종절입시간 : 양력 6월 6일 · 01시 25분 49초 (음력5.8) “망종(芒種) 절기는 황경영도(黃經零度) 춘분점(春分點)을 지나 75˚에 이르는 절기로, 천지조화(天地造化) 율려(律呂)에 따라 만군생의 활생이 장려(壯麗)해지고 만곡의 종자가 파종되어 천지의 기운이 상승하는 절기다. 선교(仙敎)에서는 망종절기(芒種節氣)에 한민족고유종교 선교의 신앙대상인 하느님 환인(桓因)께 단향(丹嚮)의 예를 올리고 천지인합일(天地人合一) 선농무일여(禪農武一如) 승선(昇仙)의 율려지계(律呂持戒)를 수행한다. 선교 수행자는 망종(芒種)에 수리천(首理闡) 선도선법(仙道禪法)를 행하며,.. 더보기
2022년 24절기 소만(小滿) #소만날짜 #소만시간 _ 선교총림 선림원절기학교 2022년 24절기 양력음력 날짜 & 시간환기9219년 단기4355년 선기56년 임인년 절기력#2022년 #소만날짜 #소만입절시각 #소만절입시간 : 양력 5월 21일 · 10시 22분 35초 (음력4.21) “입절(立節)이란 설 립(立) · 마디 절(節)로 천지간 율려(律呂)의 조화로써 황경(黃經)에 따라 각각의 절기(節氣)가 바르게 정립한다는 의미이다.” _ 선교경전 「선교전(仙敎典)」“소만(立夏) 절기는 황경영도(黃經零度) 춘분점(春分點)을 지나 60˚에 이르는 절기로, 천지조화(天地造化) 율려(律呂)에 따라 생명이 번성(繁盛)하여 만군생이 세상을 가득 채우는 절기다. 선교(仙敎)에서는 소만지절(小滿之節)에 한민족고유종교 선교의 신앙대상인 하느님 환인(桓因)께 율천(律天)의 예를 올리고 천지인합일(.. 더보기
[경칩 절기법문] 선교 취정원사, 24절기 선도법문(仙道法文) “경칩(驚蟄), 천지간 율려의 조화로 만물이 모묘(冒茆)하다.” _ 한국의 선교 선교 창교주 취정원사 선도법문 · 驚蟄 節氣法文 “경칩(驚蟄)이 되면, 천지간(天地間) 율려(律呂)의 조화로 만물이 모묘(冒茆)하다.”  “봄의 생(生)하는 기운은 생무생일체를 살리는 하늘의 마음이며, 천지간(天地間) 율려(律呂) 조화(調和)로 봄 기운이 시작되느니, 경칩(驚蟄)에 기풍화(氣風和)를 행해 천지간(天地間) 각성(角聲)의 율려(律呂)에 순응하여, 경칩일 경칩시에 시작하여 춘분 전까지 매일 축시(丑時)에 수행하라. 동풍(東風)이 불고 봄비(春雨)가 내리며 첫 천둥이치니 만물이 놀라 깨듯 홀연히 일어나, 양천(陽天)으로 정좌하여 평정운(平正韻)하고 지자(支字) 생어인신(生於印身)하여 궐음활생(厥陰活生)하니, 심신의 기풍이 율려공명하여 조화를 이루니라. 음력 2월 묘월(卯月)에 만군생(萬群生)이 .. 더보기
[우수 절기법문] 선교 취정원사, 24절기 선도법문(仙道法文) “우수(雨水), 천지간 율려의 조화로 만물이 소생(蘇生)한다.” _ 한국의 선교 선교 창교주 취정원사 선도법문 · 雨水 節氣法文 우수(雨水)가 되면, 천지간(天地間) 율려(律呂)의 조화로 만물이 소생(蘇生)한다. “봄의 생(生)하는 기운은 생무생일체를 살리는 하늘의 마음이며, 천지간(天地間) 율려(律呂) 조화(調和)로 봄 기운이 시작되느니, 우수에 소생진(蘇生振)을 행해 천지간(天地間) 각성(角聲)의 율려(律呂)에 순응하여, 우수일 우수시에 시작하여 경칩 전까지 매일 자시(子時)에 수행하라. 동풍(東風)이 불어와 산천(山川)에 봄비(春雨) 내리듯 유연하게 일어나, 양천(陽天)으로 정좌하여 평정운(平正韻)하고 인어수인(人於手印)하여 궐음활생(厥陰活生)하니, 초목(草木)이 소생(蘇生)하듯 정기(精氣)를 진작(振作)하고 목인간생(木仁肝生)하여 하늘을 응시함에 청안(淸眼)의 순기(純氣)를 .. 더보기
[입춘 절기수행] 선교총림 시정원주 24절기 선도수행 _ 동풍인(東風仁) 선도선법(仙道禪法) 입춘(立春) 입춘(立春)의 유래, 입춘은 일년 절기력(節氣曆)의 첫번째 절기로 봄이 들어서는 절기. 황경 315도. 대한과 우수 사이에 든다. 입춘 날짜는 음력 1월, 양력으로는 2월 3~4일경이다. 동풍이 불고 날이 풀리면서 언 땅이 녹으며 봄이 시작된다. 입춘(立春)의 한자는 '설 립(立)'에 '봄 춘(春)'으로, 봄의 기운이 선다 · 봄이 시작된다는 의미. 입춘에 비가 오면 “입춘우(立春雨)”라고 하여 만물을 퐁요롭게하고 좋은일이 많다. 선교(仙敎)에서는 24절기 중 첫번째 절기 입춘(立春) 절기에 “입춘치성”을 하며, 입춘첩과 봄나물을 나누어 포덕합니다. 선교 창교주 취정원사님께서 수행대중에 내리신 “천지인합일 선농무일여 참선, 농선, 무예선 _ 선교수행”에 근거하여, 선교에서는 입춘일 후 첫 해.. 더보기
[입춘 절기법문] 선교 취정원사, 24절기 선도법문(仙道法文) “입춘(立春), 천지간 율려의 조화로 봄기운이 시작된다.” _ 한국의 선교 선교 창교주 취정원사님 절기법문 · 立春 仙道法文 입춘(立春)이 되면, 천지간(天地間) 율려(律呂)의 조화로 봄 기운이 시작된다. “봄의 생(生)하는 기운은 생무생일체를 살리는 하늘의 마음이며, 천지간(天地間) 율려(律呂) 조화(調和)로 봄 기운이 시작되느니, 입춘에 동풍인(東風仁)을 행해 천지간 각성(天地角聲) 율려(律呂)에 순응하여, 입춘일 입춘시에 시작하여 우수 전까지 매일 자시(子時)에 수행하라. 아직은 추운 가운데 동풍(東風)이 불어 산천(山川)이 낮은 기지개를 켜듯, 일어나 정좌하여 평정운(平正韻)하고 인어수인(人於手印)하여 궐음활생(厥陰活生)하니, 초목(草木)이 소생(蘇生)하듯 정기(精氣)를 일으켜 목인간생(木仁肝生)하고 눈을 바르게 떠 청안(淸眼)의 순기(純氣)를 심중(心中)에 품으니라.”.. 더보기
24절기 대설(大雪), 동짓달 기나긴 밤에 눈은 내리고.. 24절기 대설(大雪) 동짓달 긴긴밤 소리없이 눈은 내리고 .. 깊어가는 겨울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스물한번째 절기 “대설(大雪)”에 대해 공부합니다. 대설(大雪)은 한자로 큰 대(大)와 눈 설(雪), 큰 눈이 내린다는 한겨울 절기입니다. 대설은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에 드는 한겨울 절기로 음력으로는 11월, 양력으로 12월 7일경 입니다. 눈이 내리고 동짓달 긴긴밤 한파가 닥칩니다. 대설(大雪) 절기는 눈이 많이 내린다고해서 대(大) 설(雪) 이지만 실상 아직은 대설주의보가 내리기보다는 북풍이 몰아치고 급격히 기온이 떨어져 한파주의보가 발령되는 곳이 많습니다. 대설 즈음에는 김장도 마무리되고 길일(吉日)을 택하여 메주를 쑤는 절기풍습이 있습니다. 민족종교 선교(仙敎)에서는 대설.. 더보기
24절기 소설(小雪), 첫눈이 내리고 첫얼음이 어는 초겨울 24절기 소설(小雪) 첫눈이 내리고 첫얼음이 어는 초겨울, 아직은 따스한 기운이 남아 소춘(小春)이라 한다.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스무번째 절기 “소설(小雪)”에 대해 공부합니다. 소설(小雪)은 한자로 작을 소(小)와 눈 설(雪), 첫눈 또는 작은 눈이 내린다는 초겨울 절기입니다. 소설은 입동(立冬)과 대설(大雪) 사이에 드는 겨울 절기로 음력으로는 10월, 양력으로 11월 22일경 입니다. 첫눈이 내리고 첫얼음이 얼며 겨울바람이 강해지기 시작합니다. 소설 절기 즈음에는 꽁꽁 추워지는 대설이 되기 전 김장을 마치고 한겨울을 준비합니다. 그러나 추위속에서도 아직은 햇살이 따스해서 작은 눈이 내린다는 “소설(小雪)”을 작은 봄 “소춘(小春)”이라고도 부릅니다. 민족종교 선교(仙敎)에서는 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