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도수행 썸네일형 리스트형 입춘, 봄이 시작되는 첫번째 절기 24절기 입춘(立春), 봄을 시작하는 첫 절기 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첫번째 절기 "입춘(立春)"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입춘은 봄이 들어서는 봄절기입니다. 입춘에 비가 오면 "입춘우"라고 하여 좋은일이 많다고 합니다. 입춘절기를 앞두고 만물을 퐁요롭게하는 입춘우(立春雨)가 내리기를 기다려 봅니다. 봄이 드는 2월 4일은 입춘 절기의 세시풍속을 공부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2020년 경자년 입춘날짜와 입춘시간 : 양력 2월 4일 · 저녁 18시 3분 #입춘의미 #입춘풍속 #2020년입춘날짜 #2020년입춘시간 #입춘대길 #건양다경 #24절기 #입춘기도 #절기수행 #선도수행 #선교수행 입춘(立春) 봄의 시작을 알리며 적선공덕을 하는 24절기 중 첫번째 절기. 입춘(立春)의 유래 입춘(立春)은 대.. 더보기 24절기 대한(大寒), 일년 절기력(節氣曆)을 마무리하는 스물네번째 절기 선교仙敎|선림원절기학교|대한大寒 24절기 대한(大寒), 음력 섣달을 매듭짓는 마지막 절기 대한(大寒) 절기는 24절기 중 스물네번째 절기로 일년(一年) 절기력(節氣曆)의 마지막 절기입니다. 대한(大寒)은 큰 대(大) 차가울 한(寒)으로 큰 추위를 말하는 것이지만 사실은 작은 추위를 뜻하는 소한(小寒) 때보다 추위가 조금 누그러집니다. 대한(大寒)은 소한(小寒)와 입춘(立春) 사이에 있으며 양력으로는 1월 20일경 음력으로는 12월 중에 듭니다. 대한(大寒)은 겨울을 매듭짓는 절후로 보아, "대한(大寒)의 마지막 날"을 "절분(節分)"이라 하여 "계절적 섣달그믐"이라 여겼습니다. 그래서 입춘 전날 밤을 "절분" 또는 "해넘이"라 하며, 절분 다음날은 정월절(正月節)인 "입춘(立春)"의 시작일로, 이 날은 .. 더보기 24절기 소한(小寒), 산천초목이 얼어붙는 가장 추운 시절 선교仙敎|선림원절기학교|소한小寒 24절기 소한(小寒), 일년 중 가장 추운 한겨울 절기 소한(小寒)은 24절기 중 스물세번째 절기로 동지(冬至)와 대한(大寒) 절기 사이에 들며, 양력으로는 1월 5일경 음력으로는 12월 중에 듭니다. 소한(小寒) 절기는 작을 소(小) 차가울 한(寒)으로 작은 추위를 말하는 것이지만 사실은 큰 추위를 뜻하는 대한(大寒) 보다 더 춥다고하여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왔다가 얼어죽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추위가 심합니다. 선교(仙敎)에서는 24절기 중 스물세번째 절기 소한(小寒) 절기에 맞는 선도수행법을 전수합니다. 소한 절기에 선교(仙敎)에서는 시무고사와 함께 선교종단의 일년 수행의 본(本)이 되는 취정원사님의 신년교유를 받게됩니다. 소한(小寒)절기에 환인하느님께 올리는 정.. 더보기 24절기 대설(大雪), 동짓달 눈 내리는 한겨울 24절기 "대설(大雪)", 소리없이 흰눈 내리는 동짓달 긴긴밤 대설(大雪)은 24절기 중 스물한번째 절기로 눈이 내리고 동짓달 긴긴밤 한파가 닥칩니다. 대설(大雪) 절기는 눈이 많이 내린다고해서 대(大) 설(雪) 이지만 실상 아직은 대설주의보가 내리기보다는 북풍이 몰아치고 급격히 기온이 떨어져 한파주의보가 발령되는 곳이 많습니다. 대설은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에 드는 한겨울 절기로 음력으로는 11월, 양력으로 12월 7일경 입니다. 대설 즈음에는 김장도 마무리되고 길일(吉日)을 택하여 메주를 쑤는 절기풍습이 있습니다. 민족종교 선교(仙敎)에서는 24절기 중 스물한번째 절기 대설(大雪) 절기에 맞는 선도수행법을 전수합니다. 환기 9216년 기해년 대설 절기에 선교(仙敎)에서는 포성기도(布省祈禱)를.. 더보기 24절기 소설(小雪), 첫 얼음이 어는 초겨울 24절기 "소설", 첫눈이 내리는 초겨울, 아직은 따스한 소춘(小春) 소설(小雪)은 24절기 중 스무번째 절기로 첫 눈이 내리고 첫 얼음이 얼며 겨울바람이 강해지기 시작합니다. 소설은 입동(立冬)과 대설(大雪) 사이에 드는 겨울 절기로 음력으로는 10월, 양력으로 11월 22일경 입니다. 소설 절기 즈음에는 꽁꽁 추워지는 대설이 되기 전 김장을 마치고 한겨울을 준비합니다. 그러나 추위속에서도 아직은 햇살이 따스해서 작은 눈이 내린다는 "소설(小雪)"을 작은 봄 "소춘(小春)"이라고도 부릅니다. 민족종교 선교(仙敎)에서는 24절기 중 스무번째 절기 소설(小雪) 절기에 맞는 선도수행법을 전수합니다. 선교(仙敎) 향선일(嚮宣日) 포덕교화의 수향의식이 봉행됩니다. 환인하느님께 올리는 정화수도성과 소설 절기법회,.. 더보기 24절기 입동(立冬), 첫눈 내리는 겨울의 시작 24절기 "입동", 선교(仙敎) 입동고사 절기치성 입동(立冬)은 24절기 중 열아홉번째 절기로 겨울이(冬) 시작되는(立) 날입니다. 입동은 상강(霜降)과 소설(小雪) 사이에 드는 첫번째 겨울 절기로 음력으로는 10월 양력으로 11월 8일경 입니다. 찬바람이 강해지고 낙엽이 쌓이며 지역에 따라 첫눈이 내리기도 합니다. 입동이 되면 북쪽지방부터 김장을 준비를 시작하며 겨울채비를 합니다.선교(仙敎)에서는 입동 절기의례 "입동고사(立冬告祀)"와 "정화수기도"를 올리고 치성합니다. 선림원절기학교에서는 "겨울학기 개강" 과 입동 절기 "선도공법 수련" 및 "생활속의 선도수행" 으로 심신수련을 합니다. 매년 입동 절기치성에는 취정원사님의 "절기와 선교수행" 공개강연과 선교총림 시정원주님의 "입동고사 소천의식"을 봉행.. 더보기 24절기 상강(霜降), 찬서리 내리는 만추(晩秋) 24절기 "상강" 세시풍속과 생활속의 선도수행 상강(霜降)은 24절기 중 열여덟번째 절기로 서리가 내리는 늦가을 입니다. 상강은 한로(寒露)과 입동(立冬)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는 9월 말, 양력으로 10월 23일경 입니다. 상강이 되면 서리(霜)가 내리기(降) 시작하며 날이 추워져 겨울이 다가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상강이 드는 10월 말(末)은 만추(晩秋)의 계절이어서 단풍이 절정에 들고 일년 농사의 가을걷이가 마무리 됩니다. 선림원절기학교에서는 상강 절기의례를 올리고 상강 절기에 맞는 생활속의 선도수행으로 심신수련을 합니다. 선교(仙敎) 에서는 추수의 감사를 올리며 만백성에 풍요로이 덕을 베풀어주시는 하늘에 예를 올립니다. 선림원 절기학교에서 상강(霜降)절기의 유래와 뜻, 상강의 풍습, 상강속담.. 더보기 24절기 추분(秋分),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추분점(秋分點) 추분(秋分), 24절기 중 열여섯번째 절기. 벼이삭은 여물고 송이버섯 향긋한 가을절기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여섯번째 절기 "추분"에 대해 알아봅니다. 추분(秋分)은 한자로 가을 추(秋)와 나눌 분(分) "추분(秋分)" 이라고 합니다.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절기로 오곡백과가 풍성하게 여물고 하늘이 드높아지며 서늘한 가을바람이 부는 본격적인 가을에 접어듭니다. 추분(秋分)은 봄철의 춘분(春分)과 상응하는 절기로 추분점(秋分點)과 춘분점(春分點)으로 절기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민족종교 선교(仙敎)에서는 선림원절기학교 가을학기로 추분절기 선도수행을 행하고 선교(仙敎)의 절기의례인 추분의례(秋分儀禮)를 올리는 동시에 대한민국 산천의 정기를 수호하는 선교의례(仙敎儀.. 더보기 24절기 백로(白露), 서늘한 가을밤 풀잎에 맺히는 이슬 백로(白露), 24절기 중 열다섯번째 절기. 서늘해지는 밤기온 풀잎에 맺히는 이슬방울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다섯번째 절기 "백로"에 대해 알아봅니다. 백로(白露)는 한자로 흰 백(白)와 이슬 로(露) "白露"라고 합니다. "白露"는 '흰이슬’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밤 기온이 이슬점(공기 속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이슬이 생기기 시작하는 온도) 이하로 내려가서 풀이나 물체에 이슬이 맺히게되는 것에서 백로(흰이슬)라 칭하게 되었습니다. 백로절기에는 밤 기온이 내려가 서늘해지며 백로 말후에는 완연한 가을 분위기가 납니다. 민족종교 선교에서는 선림원절기학교 가을학기를 진행하며 "백로절기 섭생법"과 "절기체조" 및 "생활속의 선도수행"을 배웁니다. 또한 선교(仙敎) 수행대중.. 더보기 24절기 처서(處暑), 더위는 멈추고 선선한 가을이 시작된다 처서(處暑), 24절기 중 열네번째 절기. 한풀 꺾인 더위 아침저녁 선선한 바람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네번째 절기 "처서"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처서(處暑)는 한자로 곳 처(處)와 더위 서(暑) "處暑"라고 합니다. "處"는 '하던 것을 그만두다’ 또는 '그만두고 쉬다'라는 휴지(休止)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처서는 '더위가 멈추었다' · '더이상 더위가 기승을 부리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처서 절기가 되면 입추가 지나도록 계속되던 무더위가 한풀 꺾이고 일교차가 점차 커지면서 선선한 가을기운이 시작되어, 논밭의 곡식이 서서히 가을빛을 띠기 시작합니다. 민족종교 선교에서는 선림원절기학교 가을학기를 진행하며 "처서절기 섭생법"과 "절기체조" 및 "생활속의 선.. 더보기 24절기 입추(立秋), 가을의 시작 입추立秋, 24절기 중 열세번째 절기. 말복(末伏)더위 속에서 "가을"이 시작되다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세번째 절기 "입추"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입추(立秋)는 한자로 설 립(立)와 가을 추(秋) "立秋"라고 합니다. 입추(立秋) 절기는 여름이 지나가고 가을이 들어서는 시기로, 칠월칠석을 전후하여 드는데, 아직은 말복(末伏)의 무더위가 남아있어 한여름 날씨가 계속됩니다. 조석(朝夕)으로 서늘한 기운이 감돈다고는 하나 지구온도가 상승하여 도시에서는 입추의 기운을 느끼기 어렵고, 깊고 청량한 산자락에서나 입추의 기운을 느낄수 있습니다. 입추절기 삼후가 되면 가을(秋)의 기운(金)이 서게(立)되어 기승을 떨던 삼복더위가 한풀 꺾이고 서늘한 가을기운이 감돌게 됩니다. .. 더보기 24절기 대서(大暑), 폭염의 한가운데 중복(中伏) 대서 大暑, 24절기 중 열두번째 절기. 염소뿔도 녹는다는 한여름 폭염주의보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두번째 절기 "대서"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대서(大暑)는 한자로 큰 대(大)와 더위 서(暑) "大暑"라고 합니다. 대서(大暑) 절기에는 중복(中伏)이 드는데, 복날은 초복 · 중복 · 말복의 삼복(三伏)을 이릅니다. 복(伏)날은 ‘장차 일어나고자 하는 음기가 양기에 눌려 엎드려 있는 날’이라는 뜻 입니다. 오행(五行)에서 여름(夏)은 ‘불(火)’에 속하고, 가을은 ‘쇠(金)’에 속하는데, “여름 불기운에 가을의 쇠 기운이 3번 굴복한다.”라는 뜻으로 ‘복(伏)’자를 써서 삼복이라 합니다. 대서는 양력으로 7월 22일 또는 23일경에 듭니다. 민족종교 선교에서는 선림원절기학교 여름학기를 진행하며..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