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4절기

2022년 24절기 춘분(春分) #춘분날짜 #춘분시간 _ 선림원 절기학교 2022년 24절기 양력음력 날짜 & 시간 환기9219년 단기4355년 선기56년 임인년 절기력 2022년 #춘분날짜 #춘분입절시각 #춘분절입시간 : 양력 3월 21일 · 00시 33분 25초 (음력2.19) “입절(立節)이란 설 립(立) · 마디 절(節)로 천지간 율려(律呂)의 조화로써 황경(黃經)에 따라 각각의 절기(節氣)가 바르게 정립한다는 의미이다.” _ 선교경전 「선교전(仙敎典)」 2022년 24절기 날짜와 절기가 시작되는 시간을 알아봅니다. 절기가 드는 시간을 입절시각, 또는 절입시각이라고 합니다. 대부분 시간(時間)과 시각(時刻)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는데, 살펴보자면 시간은 흐름을 말하고 시각은 시간의 한 점을 말한다고 할수 있습니다. 지금 몇시일까요? 라고 묻는 것은 시각(時刻)을 묻는것.. 더보기
[경칩 절기법문] 선교 취정원사, 24절기 선도법문(仙道法文) “경칩(驚蟄), 천지간 율려의 조화로 만물이 모묘(冒茆)하다.” _ 한국의 선교 선교 창교주 취정원사 선도법문 · 驚蟄 節氣法文 “경칩(驚蟄)이 되면, 천지간(天地間) 율려(律呂)의 조화로 만물이 모묘(冒茆)하다.”  “봄의 생(生)하는 기운은 생무생일체를 살리는 하늘의 마음이며, 천지간(天地間) 율려(律呂) 조화(調和)로 봄 기운이 시작되느니, 경칩(驚蟄)에 기풍화(氣風和)를 행해 천지간(天地間) 각성(角聲)의 율려(律呂)에 순응하여, 경칩일 경칩시에 시작하여 춘분 전까지 매일 축시(丑時)에 수행하라. 동풍(東風)이 불고 봄비(春雨)가 내리며 첫 천둥이치니 만물이 놀라 깨듯 홀연히 일어나, 양천(陽天)으로 정좌하여 평정운(平正韻)하고 지자(支字) 생어인신(生於印身)하여 궐음활생(厥陰活生)하니, 심신의 기풍이 율려공명하여 조화를 이루니라. 음력 2월 묘월(卯月)에 만군생(萬群生)이 .. 더보기
[경칩] 24절기 경칩(驚蟄) “겨울잠에서 개구리 깨어나고 새싹이 난다” 경칩(驚蟄)24절기 중 세번째 절기“경칩이 되면, 동물들이 겨울잠에서 깨어나고 봄바람이 불어 새싹이 나며 매화와 산수유가 피어난다.”한국의 선교 /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 경칩(驚蟄), 동물들이 겨울잠에서 깨어나고 산수유 매화가 피어난다.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세번째 절기 “경칩(驚蟄)”에 대해 알아봅니다.경칩(驚蟄)은 따스한 봄기운이 완연해지는 시기로 전국적으로 산수유꽃과 매화가 피어납니다. 제주를 비롯해서 광양 하동에서 매화축제가 열리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경칩 절기 초후(初候)에는 그 해 첫번째 천둥이 치고 겨울잠에 들었던 벌레와 동물들이 천둥소리에 놀라 깨어나며, 중후(中候)에는 산수유 꽃과 매화꽃이 만발하여 축제가 열리고, 말후(末候)에는 새들이 짝을 지어 날아다닙.. 더보기
[우수 절기수행] 선교총림 시정원주, 우수(雨水) 선도선법(仙道禪法) “소생진(蘇生振)” _ 24절기 선도수행 우수(雨水)우수는 일년 절기력(節氣曆)의 두번째 절기로 봄비가 내리는 초봄의 절기(節氣)로, 입춘(立春)과 경칩(驚蟄) 사이에 들며, 음력 1월 양력으로 2월 20일경, 태양이 황경 330°의 위치에 있을 때에 듭니다. 우수(雨水)는 비 우(雨)에 물 수(水)로, 얼음과 눈이 녹아 비가 된다 · 봄비가 내린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우수 · 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 는 말도 생겨났습니다. 흔히 양력 2월 말에서 3월 초 꽃샘추위라 하여 매서운 추위가 잠시 기승을 부리지만, 이미 우수 무렵이면 날씨가 많이 풀리고 온화해져 초목에 싹틉니다.  민족종교 선교(仙敎)에서는 24절기 중 두번째 절기 우수(雨水) 절기에 맞는 선도수행법을 전수합니다. 2021년 우수(雨水) 절기에 선교(仙敎)에서는 선교 취정원.. 더보기
[우수 절기법문] 선교 취정원사, 24절기 선도법문(仙道法文) “우수(雨水), 천지간 율려의 조화로 만물이 소생(蘇生)한다.” _ 한국의 선교 선교 창교주 취정원사 선도법문 · 雨水 節氣法文 우수(雨水)가 되면, 천지간(天地間) 율려(律呂)의 조화로 만물이 소생(蘇生)한다. “봄의 생(生)하는 기운은 생무생일체를 살리는 하늘의 마음이며, 천지간(天地間) 율려(律呂) 조화(調和)로 봄 기운이 시작되느니, 우수에 소생진(蘇生振)을 행해 천지간(天地間) 각성(角聲)의 율려(律呂)에 순응하여, 우수일 우수시에 시작하여 경칩 전까지 매일 자시(子時)에 수행하라. 동풍(東風)이 불어와 산천(山川)에 봄비(春雨) 내리듯 유연하게 일어나, 양천(陽天)으로 정좌하여 평정운(平正韻)하고 인어수인(人於手印)하여 궐음활생(厥陰活生)하니, 초목(草木)이 소생(蘇生)하듯 정기(精氣)를 진작(振作)하고 목인간생(木仁肝生)하여 하늘을 응시함에 청안(淸眼)의 순기(純氣)를 .. 더보기
2022년 24절기 우수(雨水) #우수날짜 #우수시간 _ 선림원 절기학교 2022년 24절기 음력양력 날짜와 시간 환기9219년 단기4355년 선기56년 임인년 절기력 2022년 임인년 우수 날짜와 우수 입절시각 : 양력 2월 19일 · 01시 43분 02초 (음력1.19) 2022년 24절기 날짜와 절기가 시작되는 시간을 알아봅니다. 절기가 드는 시간을 입절시각, 또는 절입시각이라고 합니다. “입절(立節)이란 설 립(立) · 마디 절(節)로 천지간 율려(律呂)의 조화로써 황경(黃經)에 따라 각각의 절기(節氣)가 바르게 정립한다는 의미이다.” _ 선교경전 「선교전」 / 2022년 24절기 전체 날짜와 정확한 시각(時刻)을 표로 정리해서 공지합니다. 대부분 시간(時間)과 시각(時刻)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는데, 살펴보자면 시간은 흐름을 말하고 시각은 시간의 한 점을 말한다고 할.. 더보기
[절기 음식] 입춘 절식 “오신반” & 우리 몸을 살리는 산야초 “봄나물” 입춘(立春) 입춘 절기음식 #입춘절기음식 #절기식 #시절음시 #절식 #節食 #봄나물 _ 오신반 · 오신채 · 보리밥 · 명태순대 · 무우 · 팥죽 #오신채 오신채(五辛菜)는 입춘채(立春菜), 오신반(五辛盤)이라 불리는 대표적인 입춘 절기음식 입니다. 오행(五行)에 따라 다섯가지 색(五色, 靑 · 黃 · 赤 · 白 · 黑)의 다섯가지 매운나물(五辛菜)를 먹습니다. 달래 · 부추 · 파 · 마늘 · 흥거 또는 시대와 지방에 따라 움파 · 달래 · 산갓 · 평지(유채나물) · 부추 · 승검초(당귀싹) · 미나리새순 · 보리순 등 여러가지 나물 중에서 오색을 갖추어 다섯가지를 골라서 먹는 풍습입니다. #보리밥 입춘에는 보리밥을 먹고 보리뿌리점을 치며 풍년을 기원합니다. 보리에는 체내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상해주는.. 더보기
[입춘 절기법문] 선교 취정원사, 24절기 선도법문(仙道法文) “입춘(立春), 천지간 율려의 조화로 봄기운이 시작된다.” _ 한국의 선교 선교 창교주 취정원사님 절기법문 · 立春 仙道法文 입춘(立春)이 되면, 천지간(天地間) 율려(律呂)의 조화로 봄 기운이 시작된다. “봄의 생(生)하는 기운은 생무생일체를 살리는 하늘의 마음이며, 천지간(天地間) 율려(律呂) 조화(調和)로 봄 기운이 시작되느니, 입춘에 동풍인(東風仁)을 행해 천지간 각성(天地角聲) 율려(律呂)에 순응하여, 입춘일 입춘시에 시작하여 우수 전까지 매일 자시(子時)에 수행하라. 아직은 추운 가운데 동풍(東風)이 불어 산천(山川)이 낮은 기지개를 켜듯, 일어나 정좌하여 평정운(平正韻)하고 인어수인(人於手印)하여 궐음활생(厥陰活生)하니, 초목(草木)이 소생(蘇生)하듯 정기(精氣)를 일으켜 목인간생(木仁肝生)하고 눈을 바르게 떠 청안(淸眼)의 순기(純氣)를 심중(心中)에 품으니라.”.. 더보기
[입춘] 24절기 입춘(立春) “봄이 시작되다” 입춘(立春)봄이 시작되는 한 해의 첫번째 절기“입춘이 되면 천지간 율려의 조화로 봄기운이 시작된다.”한국의 선교 /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 「선교」에서 전하는 “입춘” 24절기 이야기한국의 선교(仙敎)로 널리 알려진 「한민족 고유종교 선교」에서는 1990년대부터 「절기학교」를 운영하여우리 민족 고유의 종교 선교의 절기의례의 바탕이 되는 「24절기 세시풍속」에 대해 교육하여 왔습니다.절기의 유래와 절기 마다의 풍속, 농사의 근간이 되어온 24절기 농가월령가, 절기 속담과 절기 음식 등, 우리 민족의 의식주 생활에 배어있는 절기의 풍습에 대해 연구하고 미풍양속을 계승하여 보급하고 있습니다.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에서는 선교 교단을 창설하신 “취정원사님의 「절기법문」”과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을 설립하신 “.. 더보기
24절기 대한(大寒), 일년 절기력(節氣曆)의 마지막 절기 24절기 대한(大寒) 일년 24절기를 매듭짓는 마지막 절기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스물네번째 절기 “대한(大寒)”에 대해 공부합니다. 대한(大寒)은 일년(一年) 절기력(節氣曆)의 마지막 절기로 일년의 마지막달인 섣달에 듭니다. 대한 절기는 소한(小寒)과 입춘(立春) 절기 사이에 들며, 양력으로는 1월 20일경 음력으로는 12월 중에 듭니다. 대한(大寒)은 큰 대(大) 차가울 한(寒)으로 큰 추위를 말하는 것이지만 사실은 작은 추위를 뜻하는 소한(小寒) 때보다 추위가 조금 누그러집니다. 대한(大寒)은 겨울을 매듭짓는 절후로 보아, “대한(大寒)의 마지막 날”을 “절분(節分)”이라 하여 “계절적 섣달그믐”이라 여겼습니다. 그래서 입춘 전날 밤을 “절분” 또는 “해넘이”라 하며, 절분 다음날은.. 더보기
24절기 소한(小寒), 한파에 산천초목 얼어붙는 가장 추운 시절 24절기 소한(小寒) 일년 중 가장 추운 한겨울 절기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스물세번째 절기 “소한(小寒)”에 대해 공부합니다. 소한(小寒)은 24절기 중 스물세번째 절기로 동지(冬至)와 대한(大寒) 절기 사이에 들며, 양력으로는 1월 5일경 음력으로는 12월 중에 듭니다. 소한(小寒)은 한자로 작을 소(小) 차가울 한(寒), 작은 추위를 말하는 것이지만 사실은 큰 추위를 뜻하는 대한(大寒) 보다 더 춥다고하여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왔다가 얼어죽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한파가 닥치고 추위가 심합니다. 민족종교 선교(仙敎)에서는 소한 절기에 선교(仙敎)에서는 시무고사와 함께 선교종단의 일년 수행의 본(本)이 되는 취정원사님의 신년교유를 받게됩니다. 소한(小寒)절기에 환인하느님께 올리는 .. 더보기
24절기 동지(冬至), 일년 중 밤이 가장 긴 한겨울 24절기 동지(冬至) 작은 설 동지, 일년 중 밤이 가장 긴 한겨울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스물두번째 절기 “동지(冬至)”에 대해 공부합니다. 동지(冬至)는 한자로 겨울 동(冬)과 이를 지(至), 겨울의 정점에 이르렀다는 의미입니다. 동지(冬至)는 일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으며,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드는 겨울 절기로, 음력으로는 11월 말, 양력으로는 12월 22일 경입니다. 동짓날은 팥죽을 쑤어 사당과 당산에 올려 천신하거나 이웃과 나누어 먹고, 집안 곳곳에 놓아 악귀를 쫓는 벽사의 풍습이 있습니다. 민족종교 선교(仙敎)에서는 12월 1일부터 21일까지 삼칠일동안 선교정회력(仙敎正回曆)을 근간으로 일년간의 수행을 되돌아보며 포성기도(布省祈禱)를 올립니다. 포성..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