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원절기학교 최신글 Seonlimwon Healing Forest Contents
[절기문화원] 소서(小暑)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문화
소서(小暑)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 문화 2025년 24절기 소서 날짜와 시간7월 7일 새벽 05시 04분 58초 (음력 6.13)소서, 작을 소(小) 더위 서(暑) / 장마철 본격적인 무더위의 시작, 초복(初伏)의 절기. ※ 24절기 소서(小暑) 유래 · 풍속 · 속담· 음식 #24절기소서 #소서유래 #소서풍속 #소서속담 #소서절식 ※ 24절기 소서(小暑) 절기법문 #소서법문 #취정원사님 #선도법문 #절기법회 #산천법회 #선문화 #仙文化 ※ 24절기 소서(小暑) 절기법회 #소서절기수행 #선교총림 #선림원 #시정원주 #절기명상 #절기체조 #선교문화 24절기 소서(小暑), 장마철 본격적인 무더위의 시작 - 초복24절기 소서(小暑)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는 초복(初伏)의 절기. 장마전선이 오랫동안..
더보기[절기문화원] 하지(夏至)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문화
하지(夏至)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 문화 2025년 24절기 하지 날짜와 시간6월 21일 낮11시 42분 14초 (음력 5.26)하지, 여름 하(夏) 이를 지(至) / 일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 시간이 가장 긴 날. ※ 24절기 하지(夏至) 유래 · 풍속 · 속담· 음식 #24절기하지 #하지유래 #하지풍속 #하지속담 #하지절식 ※ 24절기 하지(夏至) 절기법문 #하지법문 #취정원사님 #선도법문 #절기법회 #산천법회 #선문화 #仙文化 ※ 24절기 하지(夏至) 절기법회 #하지절기수행 #선교총림 #선림원 #시정원주 #절기명상 #절기체조 #선교문화 24절기 하지(夏至), 태양은 가장 높이 뜨고 낮이 가장 긴 한여름24절기 하지(夏至)일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 시간이 가장 긴 ..
더보기[절기문화원] 망종(芒種)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문화
망종(芒種)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 문화 2025년 24절기 망종 날짜와 시간6월 5일 저녁18시 56분 30초 (음력 5.10)망종, 까끄라기 곡식 망(芒) 씨앗 종(種) / 보리베고 모내기를 하는 가시랭이 곡식농사 ※ 24절기 망종(芒種) 유래 · 풍속 · 속담· 음식 #24절기망종 #망종유래 #망종풍속 #망종속담 #망종절식 ※ 24절기 망종(芒種) 절기법문 #망종법문 #취정원사님 #선도법문 #절기법회 #산천법회 #선문화 #仙文化 ※ 24절기 망종(芒種) 절기법회 #망종절기수행 #선교총림 #선림원 #시정원주 #절기명상 #절기체조 #선교문화 [망종] 24절기 망종(芒種) “보리 베고, 벼 심는” 까끄라기 곡식농사24절기 망종(芒種) 까끄라기 가시랭이(芒) 씨앗(種) 을 거두고 뿌리는 ..
더보기[절기문화원] 소만(小滿)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문화
소만(小滿)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 문화 2025년 24절기 소만 날짜와 시간 5월 21일 새벽 03시 54분 37초 (음력 4.24)소만, 작을 소(小) 가득찰 만(滿) /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생장하여 가득찬다. ※ 소만(小滿) 유래 · 풍속 · 속담· 음식 #24절기소만 #소만유래 #소만풍속 #소만속담 #소만절식 ※ 소만(小滿) 절기법문 #소만법문 #취정원사님 #선도법문 #절기법회 #산천법회 ※ 소만(小滿) 단오절기법회 #소만절기수행 #단오절 #선교총림 #선림원 #시정원주 #절기명상 #절기체조 24절기 소만(小滿), 보리 베기와 모내기에 바쁜 초여름24절기 소만보리베기와 모내기에 바쁜 초여름 절기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여덟번째 절기 “소만”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소만(小滿)은..
더보기[절기문화원] 입하(立夏)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문화
입하(立夏) - 24절기 세시풍속과 선교 문화 2025년 24절기 입하 날짜와 시간 5월 5일 낮 14시 57분 10초 (음력 4.8)입하, 설 립(立) 여름 하(夏) / 여름이 시작되는 푸르른 신록의 계절 ※ 입하(立夏) 유래 · 풍속 · 속담· 음식 #24절기입하 #입하유래 #입하풍속 #입하속담 #입하절식 ※ 입하(立夏) 절기법문 #입하법문 #취정원사님 #선도법문 #절기법회 #산천법회 ※ 입하(立夏) 신성법회 #입하절기수행 #선교총림 #선림원 #시정원주 #절기명상 #절기체조 선교(仙敎), 2024 여름수행 백일안거 신성기도 _선교총림 선림원한민족 고유종교 선교 / 여름수행 / 백일안거 신성기도 환기9221년 단기4357년 선기58년 선교창교34년 선교仙敎 · 여름夏수행 · 백일안거신성기도百日..
더보기취정원사님 [24절기법문] Chwijeong _ teaching of 24 solar terms
선림원 절기학교 소개
#1 선림원 절기학교, 명상의 숲에서 시작합니다. 선림원 절기학교 소개 봄 · 여름 · 가을 · 겨울 사계절의 아름다움과 계절의 변화에 따른 24절기 세시풍속과 올바른 섭생법을 안내합니다. 자연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내 몸 또한 자연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해와 달, 별자리의 운행에 따라 변화되는 자연현상과 상생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산천초목의 생성과 소멸은 사람의 생로병사와 같습니다. 우리 옛 선조들은 24절기의 특성에 따라 농사를 짓고 양생하는 법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우리가 24절기에 따른 수행을 하는 것은 보다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것입니다. 내 몸과 마음안에 들어있는 하늘의 씨앗을 싹틔우고 꽃피우며 열매을 맺게하는 것이 인생농사이며 건강농사입니다. 하늘의 상생조화를 본받아 ..
더보기선교총림 시정원주 [절기명상 &절기체조] Sijeong _ meditation of 24 solar terms
선림원 여름명상학교 _ 민족종교 선교 절기선원 7월 명상프로그램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선원 「여름명상학교」 Seonlimwon Summer Meditation School, July _ 민족종교 선교, 선교총림 선림원에서는 24절기 선도수행을 전수하는 “절기선원” · “절기산방” · “절기학교”를 운영합니다. 매년 여름 7월에는 절기선원에서 “Meditation of Summertime”을 주제로 “여름명상학교”를 개최하여, 취정원사님의 선도법문 강좌, 시정원주님의 선도선법, 선인교당의 24절기 선도수행 절기명상 프로그램 등 선교 수행문화 선도(仙道)를 체험하는 “절기명상”을 전수합니다. “Meditation of Summertime” 절기선원 여름명상학교 힐링프로그램 7.29 ~ 7.31 _ 7월에 선교총림 선림원 “신단수숲마을 절기선원 여름명상학교”가 개최됩니다. ..
더보기24절기 음식 [절식節食] food for 24 solar terms
[절기문화원] 2025년 24절기 날짜와 시간 - 24절기표
한국의 민족종교 선교(仙敎) / 선교총림 선림원 / 절기문화원 2025년 24절기 날짜와 시간(입절시각) 24절기 solar term,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the subdivisions of the seasons 1년을 스물넷으로 나눈 기후의 표준점. 절기(節氣), 절후(節候), 시령(時令) 이라고도 한다.입춘(立春) · 우수(雨水) · 경칩(驚蟄) · 춘분(春分) · 청명(淸明) · 곡우(穀雨) · 입하(立夏) · 소만(小滿) · 망종(芒種) · 하지(夏至) · 소서(小暑) · 대서(大暑) 입추(立秋) · 처서(處暑) · 백로(白露) · 추분(秋分) · 한로(寒露) · 상강(霜降) 입동(立冬) · 소설(小雪) · 대설(大雪) · 동지(冬至) · 소한(小寒) ..
더보기선림원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Season Encyclopedia
선림원절기학교 [24절기의 유래] the origin of the 24 solar terms
-
입춘 立春 입춘(立春), 24절기 중 첫 절기. 봄을 시작하는 절기. 입춘은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들며, 음력 1월, 양력 2월 4일경, 태양이 황경 315° 위치. 입춘 15일간을 5일씩 3후(候)로 나누어 초후에는 동풍이 불어와 언땅이 녹고, 중후에는 겨울잠을 자던 벌레가 움직이고, 말후에는 물고기가 얼음 밑을 돌아다닌다.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우수 雨水 우수(雨水), 24절기 중 두번째 절기. 꽃샘추위 속에서 눈이 녹고 얼음이 녹아 계곡물이 흐르며 전국적으로 비가 온다. 입춘(立春)과 경칩(驚蟄) 사이에 들며, 음력 1월 양력으로 2월 20일경. 태양이 황경 330° 위치. 우수 초후에 수달이 물고기를 잡고, 중후에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 말후에는 초목에 싹이 튼다.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경칩 驚蟄 경칩(驚蟄), 24절기 중 세번째 절기. 동면에 들었던 개구리와 동물들이 깨어나 활동을 시작하고 새싹이 돋아난다. 바람이 심하게 분다. 우수(雨水)와 춘분(春分) 사이에 들며, 음력 2월, 양력으로 3월 5일경, 태양이 황경 345° 위치. 옛사람들은 경칩 무렵 첫 번째 천둥이 치고, 그 소리에 벌레들이 땅에서 나온다고 생각했다. _ 선교총림 선림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춘분 春分 춘분(春分), 24절기 중 네번째 절기. 밤과 낮의 길이가 같다. 매화 산수유가 만발한다. 경칩(驚蟄) 청명(淸明) 사이에 들며, 음력 2월, 양력 3월 21일경. 해의 중심이 춘분점 위에 온다. 춘분에 동풍이 불면 보리풍년, 서풍이 불면 보리흉년, 남풍이 불면 오월 전엔 물이 많고 오월 뒤엔 가물며, 북풍이 불면 쌀이 귀하다. _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청명 淸明 청명(淸明), 24절기 중 다섯번째 절기. 하늘이 맑아지고 산천초목이 푸르러지는 완연한 봄. 춘분(春分)과 곡우(穀雨) 사이에 들며, 음력 3월, 양력 4월 5일경, 태양의 황경이 15° 위치. 진달래꽃 복숭아꽃이 피고 농사일이 바쁜 중에 봄나들이가 한창. 청명은 한식 식목일과 같은 시기. 설날·한식· 단오·추석은 4대 명절.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곡우 穀雨 곡우(穀雨), 24절기 중 여섯번째 절기. 봄비가 내리고 백곡이 윤택해지는 시기. 못자리 만들기 등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된다.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에 들며, 음력 3월, 양력 4월 20일경. 태양의 황경이 30° 위치. 곡우에 비와 바람이 순조로우면 풍년이 들고 비가 내리지 않으면 그해 농사가 잘 되지 않는다. _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입하 立夏 입하(立夏), 24절기 중 일곱번째 절기. 더위가 시작되는 초여름. 농사일이 바쁜 시절. 곡우(穀雨)과 소만(小滿) 사이에 들며, 태양의 황경이 45° 위치. 음력 4월, 양력 5월 5일경. 곡우 전에 딴 녹차를 우전이라하여 최상품으로 치지만 초의(艸衣)선사는 "우리 차는 곡우 전후보다는 입하 전후가 가장 좋다"고 했다.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소만 小滿 소만(小滿), 24절기 중 여덟번째 절기.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의 생장이 왕성해져 가득찬다.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에 들며, 음력 4월, 양력 5월 21일경, 태양의 황경이 60˚ 위치. 초여름의 정취가 느껴지며 모내기 준비에 바쁘다. 보릿고개로 유명한 시절로 모내기 ·보리베기·김매기 등 바쁜 농사일이 연속된다.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망종 芒種 망종(芒種), 24절기 중 아홉번째 절기. 한낮의 기온이 높이 올라가 한여름인듯 더워진다. 보리베기 모내기는 마무리. 매실 수확이 한창인 때. 소만(小滿)과 하지(夏至)사이에 들며, 음력 4·5월, 양력 6월 6일경, 태양의 황경(黃經)이 75° 위치. 망종(芒種)이란 벼·보리 등 까끄라기 수염이 있는 곡식의 종자를 의미한다.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하지 夏至 하지(夏至), 24절기 중 열번째 절기. 정오(正午)의 태양이 가장 높이 뜨며, 북반구를 기준으로 낮이 가장 긴 날. 망종(芒種)과 소서(小暑) 사이에 들며, 음력 5월, 양력 6월 21일 경, 태양의 황경(黃經) 90° 위치. 하지가 지났는데도 비가 오지않고 가뭄이 들면 기우제를 올리는 풍습이 있다. 장마 전에 하지감자를 캔다.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소서 小暑 소서(小暑), 24절기 중 열한번째 절기. 본격적인 무더위의 시작. 하지(夏至)과 대서(大暑) 사이에 들며, 음력 6월, 양력 7월 7일경. 태양이 황경 105° 위치. 초복의 무더위와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습도가 높아져 장마가 시작된다. 과일 채소가 풍성해지고 햇밀과 햇보리를 수확하여 밀을 이용한 계절음식을 먹게 된다.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대서 大暑 대서(大暑), 24절기 중 열두번째 절기. 중복(中伏)이 들어 폭염이 지속된다. 소서(小暑)와 입추(立秋) 사이에 들며, 음력 6월, 양력 7월 23일경. 태양의 황경이 120° 위치. 대서 절기 15일을 5일씩 삼후로 나누어 초후에 썩은 풀이 변해 반딧불이 되고, 중후에 흙이 습하고 무더워지며, 말후에 큰비가 때때로 내린다.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입추 立秋 입추(立秋), 24절기 중 열세번째 절기. 말복 더위 속에서 가을이 시작. 대서(大暑)와 처서(處暑) 사이에 들며, 음력 7월, 양력 8월 7일경, 태양의 황경 135° 위치. 입추가 지나도 장마가 그치지 않으면 기청제를 지낸다. 김장 무·배추를 파종. 초후에 서늘한 바람이 불며, 중후에 흰 이슬이 내리고, 말후엔 쓰르라미가 운다.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처서 處暑 처서(處暑), 24절기 중 열네번째 절기. 더위가 멈추고 선선한 가을이 시작된다.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에 들며, 음력 7월, 양력 8월 23일경, 태양의 황경이 150° 위치. 처서(處暑)는 더위가 더이상 기승을 부리지 않는다는 의미로 일교차가 점차 커지면서 선선해지고 논밭의 곡식이 서서히 가을빛을 띠게 된다.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백로 白露 백로(白露), 24절기 중 열다섯번째 절기. 밤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잎에 이슬이 맺힌다. 처서(處暑)와 추분(秋分) 사이에 들며, 음력 8월, 양력 9월 9일경. 태양의 황경이 165° 위치. 말후에는 완연한 가을 분위기가 나며, 날씨가 쾌청하고 하늘이 높고 푸르러진다. 포도가 제철이며, 알밤이 떨어지기 시작한다.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추분 秋分 추분(秋分), 24절기 중 열여섯번째 절기.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추분점(秋分點). 백로(白露)와 한로(寒露) 사이에 들며, 음력 8월, 양력 9월 23일경. 태양의 황경이 180° 위치로 춘분(春分)과 대치점. 초후에는 우레 소리가 그치고, 중후에 동면할 벌레가 흙으로 입구를 막으며, 말후에 땅 위의 물이 마르기 시작한다.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한로 寒露 한로(寒露), 24절기 중 열일곱번째 절기. 찬이슬이 맺히고 바람이 차가워진다. 추분(秋分)과 상강(霜降) 사이에 들며, 음력 8월 말 9월 초, 양력 10월 8일경. 태양의 황경이 195° 위치. 국화꽃이 만발하고 단풍이 물들기 시작한다. 음력 9월이면 가을이 깊어져 추수를 서둘러 마치고 본격적으로 가을걷이에 들어선다.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상강 霜降 상강(霜降), 24절기 중 열여덟번째 절기. 서리가 내리고 찬바람이 부는 만추. 한로(寒露)과 입동(立冬) 사이에 들며 음력 9월 말, 양력 10월 23일경. 태양의 황경 210° 위치. 첫눈이 내리기도 한다. 초후에는 승냥이가 산짐승을 잡고, 중후에 초목이 잎을 떨구고, 말후에 동면에드는 벌레며 짐승들이 겨울잠을 준비한다.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입동 立冬 입동(立冬), 24절기 중 열아홉번째 절기. 겨울의 시작. 상강(霜降)과 소설(小雪) 사이에 들며, 음력 10월, 양력 11월 8일경. 태양의 황경이 225° 위치. 김장과 겨울 채비를 한다. 물이 얼고, 땅이 처음으로 얼며, 꿩은 드물어지고 조개가 잡힌다. 입동에는 그해 추수한 쌀과 팥으로 시루떡을 쪄서 고사(告祀)를 지낸다.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소설 小雪 소설(小雪), 24절기 중 스무번째 절기. 첫눈 내리는 겨울. 아직은 따스해 소춘(小春)이라 한다. 입동(立冬)과 대설(大雪) 사이에 들며, 음력 10월, 양력 11월 22일경. 태양의 황경 240° 위치. 초후에 무지개가 걷혀 나타나지 않고, 중후에 천기(天氣)가 올라가고 지기(地氣)가 내리며, 말후에 폐색되어 겨울이 된다.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대설 大雪 대설(大雪), 24절기 중 스물한번째 절기. 눈이 많이 내리고 급격히 기온이 떨어진다.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에 들며, 음력 11월, 양력 12월 7일경. 태양의 황경이 255˚ 위치. 겨울준비를 마친 농가의 농한기(農閑期). 대설 즈음 가장 큰일은 메주쑤기. 대설(大雪)에 눈이 많이 내리면 이듬해에 풍년이 든다.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동지 冬至 동지(冬至), 24절기 중 스물두번째 절기. 겨울의 정점. 일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다. 작은설 아세(亞歲).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들며, 음력 11월, 양력 12월 22일경. 태양의 황경 270° 위치. 동지부적을 붙이며, 동짓날 따뜻하면 질병이 많아 사람이 죽고, 눈이 많고 추우면 풍년이 든다고 전한다.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소한 小寒 소한(小寒), 24절기 중 스물세번째 절기. 일년 중 가장 추운 시기. 음력 12월, 양력 1월 6일경. 태양이 황경 285° 위치. 산간지방에는 폭설이 내린다. 설빔을 짓기 시작하고 무명이나 명주를 포목하여 색색의 물을 들여 놓는다. 설날에 쓰일 차례주 떡국떡 두부 메밀묵 강정을 만들며 세찬(歲饌)을 미리미리 준비한다.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
-
대한 大寒 대한(大寒), 24절기 중 스물네번째 절기. 일년의 절기력(節氣曆)을 마무리. 추위가 조금 누그러진다. 소한(小寒)와 입춘(立春) 사이에 들며, 음력 12월, 양력 1월 20일경. 태양이 황경 300° 위치. 이사나 집수리 등 집안손질에 붙는 동토부정이 없는 기간. 신구간(新舊間) 이라고 한다. 대한 후 5일에서 입춘 전 3일간.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절기백과] 더보기